건너뛰기 버튼

본문내용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건너뛰기 버튼

본문내용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중국에서의 중간계층의 성장과 구조변화

  • 저자

    이중희(부경대 국제지역학부 부교수)

  • 출처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학종합연구센터

  • 발행일

    2005-10-30

  • 등록일

    2005-11-22

[국제지역연구 제9권 제3호]

*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학종합연구센터)

개혁.개방이후 비공유제 허용, 도시화, 분업의 세분화.전문화, 위계조직의 확대, 교육받은 인력의 대량공급, 교육.의료서비스부문의 확대 등 촉진요인이 작용하여 중간계층이 개혁개방이전보다 빠르게 증가하여 왔다. 중간계층의 범위에 대해서는 사영기업주를 중간계층에서 제외하고 전문기술자 사무직 개체공상호만을 중간계층으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 1978년부터 2001년까지 계층구조 변화의 주요 특징은 농업노동자의 감소, 산업노동자의 정체, 상업.서비스직의 증가, 구중간계층(개체공상호).사영기업주의 형성 및 급증, 신중간계층의 증가, 전문경영자의 증가로 요약될 수 있다.

중간계층은 1978년의 4.8%에서 2001년의 18.9%로 증가하였다. 신중간계층인 전문기술자와 사무직도 꾸준히 증가하였다. 공업화와 시장의 제고 그리고 관리의 수요와 기술의 진전은 사무직과 전문기술자의 수를 증가시킨 요인이었다. 그런데 중국에서는 신중간계층보다 구중간계층인 개체공상호의 증가속도가 더욱 빠르다. 신중간계층은 1978년에서 2001년 사이에 1.36%에서 4.69%로 증가하였던 반면, 구중간계층은 0.03%에서 7.1%로 급격히 증가하였다. 구중간 계층의 증가속도가 신중간계층보다 빠른 이유는 첫째, 국가가 개혁.개방 이래 사유경제를 허용하였고 둘째 이농의 증가가 크게 작용하였기 때문이다.

확인

아니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