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너뛰기 버튼

본문내용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건너뛰기 버튼

본문내용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중국 유가정책과 홍콩항 물동량 증가세 둔화

  • 저자

    이성우

  • 출처

    KMI (한국해양수산개발원)

  • 발행일

    2005-11-14

  • 등록일

    2005-12-06

[해양수산동향 제 1192 호]

요약

ㅇ 홍콩항은 그 동안 우수한 서비스를 바탕으로 옌티엔항을 위시한 선전지역 항만들을 잘 견제해 왔으나 갑자기 그들의 고(高) 비용, 고(高)서비스 정책을 수정하게 된 이유에는 싱가포르항과 선전항 등 경쟁항만의 도전 이외에도 최근 폭등하고 있는 유가가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임.

ㅇ 2001년 배럴당 25달러 정도였던 국제 원유가는 2003년 배럴당 30달러, 2004년 배럴당 40달러, 2005년 9월 배럴당 68달러까지 상승했음. 따라서 국제유가는 지난 4년간 거의 3배에 육박하는 증가율을 나타냈으며, 2004년 12월말 이후 현재까지 9개월 동안 약 50%나 급등했음.

ㅇ 중국의 원유난은 홍콩에도 영향을 미치기 시작해서 차량에 기름을 넣기가 어려워진 화물운송업체들은 아예 홍콩-중국간 제품 수송을 포기하고 있음.

ㅇ 중국은 원유가 완충 고정제의 시행은 2001.10.17 중국정부가 원활한 석유공급, 시장변동에 유연한 대처, 시장의 일정 자율권 부여 등을 위해 새로운 원유 가격 결정 방법을 실행하기 시작했음. 그러나 이러한 정책은 현재 연일 폭등하고 있는 국제유가에 중간 도매구조와 소매시장을 왜곡시켜 주유소 휴업과 같은 문제를 낳고 있는 실정임.

ㅇ 우리나라 항만들의 물동량 추이에도 많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됨. 따라서 중국의 유가정책과 고유가 현상의 파동에 대한 우리나라 입장의 면밀한 검토와 대응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됨.

확인

아니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