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너뛰기 버튼

본문내용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건너뛰기 버튼

본문내용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중국의 자원수급 문제와 파급효과

  • 저자

    김주영

  • 출처

    한국수출입은행

  • 발행일

    2006-02-06

  • 등록일

    2006-02-08

중국이 고도성장을 지속함에 따라 경제발전에서 가장 중요한 자원인 원유와 철광석의 소비가 급증하여 이들 자원의 2004년 대외의존도가 54.6%, 42.9%에 달한다.
중국의 원자재 수요는 석유화학, 전력, 제련, 조선, 기계 등 중공업 위주의 산업 확대, 동부 연해지역의 부동산, 자동차 수요의 증대, 중서부 지역의 인프라 확충 등과 맞물리면서 1992~2004년 중 9.5%의 연평균 경제성장률을 달성하는 동안 원유와 철강의 연평균 소비증가율이 각각 5.6%, 3.0%를 기록하였다.
그러나 원유는 매장량 24.9억 톤으로 많지 않은데다 기존 유전의 노후화와 신규 유전 발굴 부진으로 원유 생산이 둔화되어 향후 연간 생산량이 최대 2.1억 톤에 그칠 것이다. 철광석은 매장량이 217.6억 톤으로 적지 않으나 저 품위 중소형 탄광이 대부분이기 때문에 연간 생산량이 현재와 비슷한 2.8억 톤 수준에 그칠 것으로 보여, 2020년에 원유와 철광석 소비량의 각각 70%, 61% 상당을 수입에 의존할 것으로 예상된다.

확인

아니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