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너뛰기 버튼

본문내용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건너뛰기 버튼

본문내용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중국 도시발전 전략과 지역협력

  • 저자

    리우쥔화

  • 출처

    인천발전연구원

  • 발행일

    2007-08-20

  • 등록일

    2007-08-23

 

중국 도시발전 전략과 지역협력

리우쥔화 (북경국제도시발전연구원 연구원)


1. 경제의 세계화와 중국 도시 발전

도시는 21세기 국제 경쟁 및 협력의 기본 단위가 되었으며 도시 및 도시군간의 분업, 협력 및 경쟁은 세계 경제 및 정치 구도를 결정하게 될 것이다.

중국에는 도시화 과정에서 상당기간 지역간 발전 격차가 존재할 것이고 산업화추진에 따라서 인구의 도시 집중이 이루어지겠지만 점차 도시와 농촌의 공동 발전을 이루어갈 것이다. 중국은 국제도시와 자체 혁신 중심도시를 세우고 이들 도시가 글로벌 경제와의 연결고리가 되어 중국 내 도시를 새로운 도시네트워크에 편입시키는 역할을 하도록 해야할 것이다.


2. 지역경제 통합은 세계화의 필연적 선택

지역경제 통합은 ‘생산력 증대와 국가간 국제분업 확대’, ‘세계경제 발전 수준의 불균형’, ‘지정학적 질서 유지와 경제안보’라는 객관적 토대와 필연성을 가지고 있다. 지역경제 통합은 세계경제 및 정치의 다극화 추세를 반영한 것이며, 세계 다극화가 진행됨에 따라 지역경제 통합은 더욱 강화될 것이다.


3. 동아시아 ‘10+3’ 체제 하에서의 동북아지역 협력

동북아지역의 경제통합은 주로 ‘10+3’(ASEAN 10개국+일본, 한국, 중국)모델로 표현되는데 두만강지역 국제협력, 환황해/발해지역의 경제협력, 지역내 양자무역, 한중일 금융안보협력, 에너지 및 환경 분야협력 등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 지역은 상호 협력의 여지와 잠재력이 매우 크며 동북아지역 협력은 세계 경제발전의 필연적 추세이기도 하다.


4. 한중일 자매도시 발전전략

한중일 자매도시의 발전을 위해서 한중일 아시아 3대 경제강국이 한 곳에 모여있는 지리적 환경을 활용한 지리전략을 수립하고 지역경제 통합을 통해 각국의 공동번영을 촉진하는 경제전략을 수립하며 역사, 민족, 차이, 현실, 발전, 미래 등에 대한 바른 인식을 통한 문화전략을 수립해야할 것이다.

 

 

확인

아니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