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수도권의 발전과정과 문제 및 전망
판지에 (중국과학원 지속가능발전연구센터 주임)
1. 중국 수도권의 발전과정
단일도시 형성(고대~중화인민공화국 수립 전)→공업그룹의 형성(1949~1978년)→위성도시의 형성 및 발전(1980년대~1990년대 초)→긴밀한 연계구도 형성(1980년대 중후반~21세기 초)→도시권의 관문 형성(21세기 초 이후)
2. 문제점
북경과 천진은 산업 동질화현상이 심해지면서 협력보다 경쟁관계가 부각되었다. 북경과 당산은 독자적인 발전을 진행하면서 명확한 분업구도를 형성하지 못했다. 장가구와 승덕의 경우 수자원 공급에 치중하여 지역발전이 매우 더딘 특징을 보이고 있으며, 북경과 천진으로 구성된 성장축은 인접지역 발전을 이끄는 부분이 부족하다. 북경의 발전 및 건설계획이 주로 도심지역에 집중되어있고 여건을 갖추지 못한 지역이 신도시 건설을 계획하면서 지역 발전에 제약을 가져왔다. 또한 북경 주변 11개 신도시 건설은 인구 억제 계획으로 이루어진 것이었으나 오히려 도시규모 확대를 야기하고 있다.
3. 전망
북경과 천진은 명확한 도시 위상 정립 및 분업을 통해 세계적인 핵심지역으로 성장하여 수도권의 종합 경쟁력을 향상시킬 것이다. 수도권의 조비전은 세계적인 화학 산업기지로 성장할 수 있는 천혜의 조건을 갖추고 있다. 중공업의 중심이 당산으로 이전되며 조비전신구는 빠르게 발전할 것으로 전망된다. 보정 및 랑방은 수도권의 위성도시로 성장하여 북경의 일부기능을 분담할 수 있어야할 것이다. 인구부문에 있어서 북경시 인구의 외부 이주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공공서비스의 균등화가 먼저 이루어져야할 것으로 보인다. 수도권의 생태보상시스템 구축은 수도권 생태환경 품질 개선에 도움이 될 것이며 수도권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Back Yard로 형성될 것이다. 북경 중심의 전국 교통망은 선진국 도시밀집지역의 교통운송 수준에 도달하는 것을 발전의 기본목표로 삼아야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