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너뛰기 버튼

본문내용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건너뛰기 버튼

본문내용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중국 광동성의 경제발전 분석

  • 저자

    한중교류센터

  • 출처

    인천발전연구원

  • 발행일

    2007-10-11

  • 등록일

    2007-10-11

 

중국 광동성의 경제발전 분석

‘아시아 4대 용(한국, 홍콩, 대만, 싱가포르)’과의 비교

 

 

Ⅰ. 광동과 아시아 4대 용의 경제발전 비교

 

 

1. 주요 성과

2007년 광동 GDP는 '아시아 4대 용'의 평균 수준을 넘어설 것으로 보인다. 2005년 GDP증가량이 한국을 넘어섰으며, 2007년에는 수출총량에서 한국을 넘어설 것으로 전망된다.

 

 

2. 주요 격차

광동은 GDP증가량 및 수출총량이 높지만 1인당 GDP, 산업구조, 도시화 수준, 거주민 생활수준, 기술수준 등은 ‘아시아 4대 용’과 비교해볼 때 아직 큰 격차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3. 원인 분석

중국의 경제 발전은 ‘아시아 4대 용’과 비교해볼 때 출발이 늦었고, 중국의 산업구조, 소득, 발전 등이 불균형해서 격차가 나타나고 있다.

 

 

Ⅱ. '아시아 4대 용' 발전의 특징

 

 

1. 한국: 장기적으로 수출주도 정책 지속, 적절한 산업구조 조정

2. 싱가포르: 본부경제 발전지원, 정부기업 설치

3. 홍콩: 중국 내륙지역에 투자, 탈공업화로 야기되는 문제

4. 대만: 국제시장 변화의 기회 활용

 

 

Ⅲ. 광동의 발전 방향 정립

 

 

1. 적절한 발전수준 유지

(1) 경제성장률: 13%

(2) 고정자산투자증가율 (투자율: 30%, 투자증가속도: 16%)

(3) 대출증가율: 18%

 

 

2. 단계별 발전추진

(1) 1단계 (2007년~2015년)

(2) 2단계 (2016년~2025년)

(3) 3단계 (2026년~2035년)

 

3. 문제점

(1) 높아져가는 노동력 코스트

(2) 공업의 중형화 발전

(3) 서비스업 발전 추진의 어려움

(4) 내원형 경제의 발전환경 문제

(5) 쉽지 않은 소비 고도화

  

4. 해결방안

(1) 사회주의 시장경제 지속 추진

(2) 국유자본 관리체계, 국유기업 관리구조 수립

(3) 신중하게 중점 산업을 선택

(4) 산업 조직망 추진 가속화

(5) 외향형 경제발전 지속

(6) 하이테크 산업 발전을 통한 산업구조 고도화

(7) 과학기술 창조체계 구축

(8) 중소기업 대규모 지원

(9) 외자의 질과 규모 중시

(10) 농업 산업구조 조정 가속화

(11) 민생의 기본 문제 중시

 

 

확인

아니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