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너뛰기 버튼

본문내용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건너뛰기 버튼

본문내용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중국 물가상승 등이 우리 경제에 미치는 영향

  • 저자

    김주영

  • 출처

    한국수출입은행

  • 발행일

    2007-10-11

  • 등록일

    2008-04-17

 

목차
1. 최근 중국 물가 상승과 유동성 증가
- 물가: 금년 8월 소비자 물가가 월간으로 11년 만에 최고 기록
- 유동성 증가
2. 중국정부의 경기과열 억제조치
- 거시경제 안정을 위해 금년에 5회 금리 인상과 7회 지급준비율 인상
- 주민의 해외유가증권 투자 허용 등 자본의 해외유출 완화
3. 중국 내외 경제환경
- 잦은 최저임금 인상 및 환경규제 등으로 기업 비용부담 증가
- 국제 원자재 가격의 고공행진, 물가 억제를 위한 석유류 제품가격 동결실시로 가격왜곡현상 발생
4. 중국의 물가와 유동성 전망
- 2008년 올림픽까지 경제, 정치, 사회적 혼란을 최대한 억제하기위해 상대적으로 온건한 경제정책 추진 전망
- 올림픽 후 과감한 거시경제 안정화 정책의 실시로 유동성 공급이 둔화될 전망
- 해외로의 자본유출 가속화를 초래하여 자산가격 급락 가능성
5. 우리나라에 미치는 영향과 시사점
- 중국의 강력한 거시경제 안정화 정책으로 대 중국 수출 둔화 우려
- 우리의 대 중국 수출 품목이 극히 일부품목에 의존하는 경향이 심화되는데서 비롯
- 중국 진출 한국기업의 수익성 악화로 투자에 따른 수출유발 효과도 감소
- 제조업 분야의 경쟁력 강화를 통해 중국 수출상품 다양화 모색
- 비제조업 분야의 중국 진출을 통해 향후 확대되는 서비스 시장 개척
- 현지법인의 양적성장보다 내실위주 경영으로 리스크 관리에 주력할 필요
- 중국 투자는 올림픽 이후 중국 경제상황을 고려해서 신중할 필요가 있음
- 수출 상품의 브랜드화와 고급화, 수출시장의 다변화로 한국 국내경제 안정 도모

 

 

확인

아니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