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너뛰기 버튼

본문내용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건너뛰기 버튼

본문내용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최근 중국내 달러화 경색현상 심화 배경과 시사점

  • 저자

    이치훈

  • 출처

    국제금융센터

  • 발행일

    2008-04=01

  • 등록일

    2008-04-24

<요약>

ㅁ (이슈)  최근 중국의 외환보유액 급증세가 지속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시중 달러자금의
    경색현상은 오히려 심화되고 있는 추세

 ㅇ 지난해말 중국의 외환보유액은 전년동기비 43% 증가하였으며 금년들어 2월까지 증가액도
       지난해 말 전체 증가액의 26%에 달함

 ㅇ 지난해 말부터 중국내 달러자금의 경색현상이 심화되었으며, 특히 금년 3월에는 은행간 
       단기외화 자금의 금리가 최대 Libor+1000bp까지 급상승

ㅁ (배경)  이는 해외부문으로 부터의 자금유입억제 조치 등 당국의 정책과 함께 위안화절상
    기대에 따른 위안화선호 현상 확산으로 시중에 달러가 부족한데 주로 기인

  ㅇ (단기외채한도 축소) 지난해 3월, 외환관리국(SAFE)이 위안화절상압력 완화 등을 위해 
        금융회사의 단기외채한도축소 조치를 단계적으로 시행 하 고 그기한(금년3월)이 만료됨에
         따라 은행들의 국내달러 수요가 크게 증가

  ㅇ (인민은행의 달러유동성 흡수 조치) 한편 인민은행이 해외부분에서 유입된 달러자금을
         흡수하기 위해 금년들어 3월까지 발행한 통안증권 금액은 ‘07년 전체발행액의 약 44%에
         달하는데 이는 ‘07년 외환보유액 증가분의 약 53%에 달함

  ㅇ (위안화절상 기대심리 확산) 특히 위안화절상 기대가 점차 커짐에 따라 기업들이 달러를
         은행예금으로 보유하고 있기보다는 매각하여 환차손을 줄이고 외화대출(부채)을 확대하여
         환차익을 노리는 경향이 확대

ㅁ (시사점) 향후에도 이러한 현상은 당분간 지속될 전망임에 따라, 중국진출 국내기업과 은행은
        소요자금확보와 수익성제고 등에 노력할 필요

  ㅇ 기업은 위안화절상에 대비함은 물론 수출입 결제기간을 Match 시키는 등

확인

아니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