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 약>
최근 한·중 FTA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는 가운데 한·중 FTA로 인한 관세철폐에
대한 관심은 매우 높은 반면, 상대적으로 원산지규정에 대한 관심은 낮은 편이다.
그러나 원산지규정이 FTA 협정 운용상의 실리를 결정짓는 중요한 축을 이루는 만큼
FTA 원산지규정 협상은 다른 어떤 분야의 협상보다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한·중 FTA 타당성 및 기대효과 논의를 위해 한·중 간 산·관·학 공동연구가 진행 중인
현 시점에서, 양국간 FTA상의 상이한 원산지규정으로 인한 부정적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향후 추진될 한·중 FTA의 효과적인 협상을 위한 기초자료로서
양국의 기체결 FTA 협정문에 나타난 원산지규정의 특징과 주요 산업별 양국의 원산지
결정기준을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한·중 FTA 원산지규정 협상에 대한 시사점과 대응
방안을 모색해 보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