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너뛰기 버튼

본문내용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건너뛰기 버튼

본문내용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동북아 역내 교역 변화의 특징과 시사점

  • 저자

    산업전략본부

  • 출처

    현대경제연구원

  • 발행일

    2009.12.09

  • 등록일

    2010-01-13

요약

(분석 배경) 거대 내수 시장을 가지고 있는 중국 경제가 부상하면서 동북아 경제권의 교역 구조가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이는 이미 한국, 일본이 모두 제조업 강국이면서 수출에 성장을 의존하는 가운데 비슷한 경제 발전 전략을 채택하고 있는 중국이 등장하면서, 세계 교역 시장에서 한, 중, 일 3국간 경쟁은 물론  역내 구조가 재편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중국이 WTO에 가입하기 직전인 2009년 이후 최근까지 동북아 역내 교역에 어떠한 변화가 있었는지를 살펴보고 시사점을 도출해 보았다.

(한, 중, 일 3국 제품의 세계 교역시장 점유율 변화)한,중, 일 3국 제품의 세계  수입시장 점유율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세계 수입시장에서 3국 제품의 점유율은 1990년 12.4%(3국 총수출 4,186억 달러)에서 2008년에 16.4%(2조 6,393억 달러)로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국별로는 한국 제품의 시장점유율이 일본 제품의 점유율(4.9%)을 크게 앞서고 있다.

(동북아 역내 교역 비중의 변화) 한, 중, 일 3국간 역내 교역 비중도 추세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3국간 역내 수출은 1990년 481억 달러에 불과하였으나 2008년에는 5,245억 달러로 증가하였다. 이에 따라 3국간 역내 수출이 3국의 총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1990년 11.5%에서 2008년에는 19.9%까지 높아져 있다. 다만, 2004년(22.3%) 이후 역내 수출 비중은 다소 낮아지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확인

아니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