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약>
ㅁ (현황) 중국의 저축률은 다른 국가들에 비해 매우 높은 수준. 특히 기업과 정부의 저축률
증가폭이 확대되고 있음
ㅇ 중국의 총저축률(총저축/국민총가처분소득)은 `96년 36%에서 `07년 50.9%로 상승. 이는 미국(14%),
한국(29%) 등 다른 국가들에 비해 매우 높은 수준
ㅇ 특히 `96~`07년 중 13%p의 총저축률 증가분 가운데 가계는 2%p를 기여한 데 반해 기업은 4%p,
정부는 7%p로 크게 기여
ㅁ (원인) 사회안전망 미비 등에 따른 가계의 저축 유인 증가, 기업 이익의 내부 유보 등으로
인한 기업 저축 증가 및 정부의 투자 위주 재정운용 등
ㅇ (가계) 전체 인구 중 저축 연령 인구 비중 증가, 사회안전망 미비 및 소비 관련 금융 발전 부진 등
ㅇ (기업) 자본집약적인 산업구조로의 전환에 따른 자본재 투자 수요 증가 및 기업의 영업이익을
대부분 재투자하는 중국 기업의 이익 배분 구조 등
ㅇ (정부) 토지임대료 수입 증가 등에 따른 세수 급증에도 불구 정부는 소비 지출보다는 인프라 건설
등 정부 투자에 역점을 두어 재정을 운용
ㅁ (영향) 국내 소비 부진과 투자·수출 의존적 경제성장 방식에 대한 우려 증대 , 과도한 투자에
따른 생산능력 과잉 및 자산시장 과열 발생 등
ㅇ 높은 저축률은 소비 부진을 초래하는 한편 투자와 수출에 과도하게 의존하는 불균형한 경제성장
구조를 형성하게 되었고 이러한 경제성장 방식의 지속가능성에 대한 우려가 증대되고 있음
ㅇ 과도한 투자로 인해 부동산 등 자산시장 과열 및 철강, 시멘트 등의 일부 부문에서는 생산과잉
문제가 발생
ㅁ (전망) 인구통계적 변화 및 정부의 소비확대를 위한 저축률 감소 노력에 힘입어 장기적으로는
중국의 총저축률은 감소될 것으로 전망
ㅇ 인구고령화에 따라 저축 연령 인구가 감소하고 소비 연령 인구가 증가함에 따라 저축률은 점차
감소될 것으로 예상되며 특히 가계부문에 대한 소득분배를 확대하고 저축 유인을 감소시키기 위한
정부 정책은 향후 중국 저축률 감소 및 소비 제고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