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약>
ㅁ (동향) 최근 주요 경제지표의 회복세가 지속되는 가운데, 부동산시장에 대한 과열 우려가
확산
ㅇ 금년 1분기 성장률 11.9%로 ‘08년 성장률 9.6%를 상회한데 이어, 4월에도 양호한 경제지표를 보임.
전반적으로 투자 증가세는 지난해 보다 둔화된 반면, 수출과 소비 증가세가 지속
ㅁ (경제 전망) 금년 전체 10% 내외의 고성장세를 기록하고, 성장 방식도 서서히 개선될 전망
ㅇ 특히 소비가 확대되는 한편 민간부분의 투자도 점차 활성화되어 지난해 과도한 투자위주의 성장
구조가 완화될 전망
ㅁ (정책 전망) 소비확대를 위한 재정정책은 기존 확장적 기조를 유지하나, 대내외 여건을
고려해 가며 점진적인 통화긴축을 시행할 전망
ㅇ (재정정책) 금년 경제정책의 핵심인 소비확대를 위해 가전제품 등에 대한 보조금 지급 정책이
년말까지 지속되고 저소득층 지원은 더욱 강화될 전망
ㅇ (통화 및 환율정책) 물가 및 자산가격 상승에 대응한 유동성 축소 조치가 지속될 것이나, 상반기
지속된 긴축정책과 대외 경제여건 악화로 금리 및 위안화 절상 압력은 다소 완화
ㅁ (리스크 요인) 상대적으로 높은 경제 성장에도 불구 △부동산 가격 하락 △국제자본 유출입
등 리스크요인이 심화될 경우, 성장률 둔화폭 확대로 이어질 우려
ㅇ (부동산가격 하락) 당국의 유동성 축소 및 지속적인 부동산 규제 정책 등으로 하반기부터 부동산
가격이 하락세로 전환될 가능성
ㅇ (물가상승과 정책적 리스크) 최근 점차 커지고 있는 물가상승 압력에 대응하여 정부가 과도한
출구전략을 시행할 경우, 자산가격의 추가 하락 뿐만 아니라 기업 경영환경 악화 등 부작용이 발생
할 우려
ㅇ (핫머니 유출) 최근까지 중국으로 유입된 핫머니 규모가 사상 최고치를 기록. 대내외 여건 크게
악화될 경우 동 자금이 단기간내 급속히 유출될 가능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