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약>
중국의 에너지 소비량은 지속 증가하여 2009년 석탄, 석유 등 주요 에너지의 소비량은 2000년의 2배 수준에 근접했다. 이에 따라 2020년의 에너지 소비량은 2010년에 비해 50% 증가할 것이라는 예측도 나오고 있다. 2000년 이후 에너지 수입대국으로 전환된 중국의 에너지 수입량은 매년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현재의 에너지 보유량 및 소비량 기준으로 볼 때 중국은 대략 50년 후에 에너지위기를 겪게 될 것이다.
미래의 에너지위기에 대응하기 위해 최근 들어 중국은 新에너지 산업의 발전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新에너지 중 풍력에너지, 특히 해상 풍력에너지의 잠재력은 크나 태양에너지, 수력발전 및 바이오매스의 발전에는 환경, 기술 등의 제약이 따른다. 원자력에너지 또한 중국정부의 저탄소 정책에 힘입어 향후 10년간 빠르게 성장할 전망이다. 하지만 2020년에 新에너지와 원자력에너지가 전체 발전 설비용량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17%에 불과해 화석에너지의 부족현상만 완화시키고 전반적인 에너지 공급에 대한 기여에는 한계가 있을 것이다.
<목록>
요약
1. 중국의 에너지위기 현황
2. 원자력에너지와 재생에너지 발전 전망
3. 메탄하이드레이트 개발 현황 및 전망
4. 개발 프로젝트에 대한 제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