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약>
2030년 친디아의 미래를 전망한다
□ 중국, 인도 같은 막대한 규모의 시장과 큰 잠재력을 가진 국가들은 20-30년을 내다보는 장기적 접근이 필요. 이때 직접 관여하는 사업업종만이 아닌 거시경제 전망과 정치 사회 및 인구구조적인 문제까지 살펴야 할 것
□ 2030년 중국 경는 미국을 넘어서 세계 1위가 될 전망. 2040년이 이르면 그 규모가 미국의 3배 수준이 되리라는 예측도 나올 정도. 생산성 향상이 노동투입 감소를 보완하게 될 것이고 엄청난 규모로 팽창한 소비시장은 글로벌 기업들의 치열한 각축장이 될 것
□ 2030년의 인도는 일본을 추월하고 세계 3위의 경제대국이 될 전망. 현재도 중국의 급격한 산업화의 전례를 밟고 있는 인도는 앞으로 중국과 같은 투자 중심의 성장구조로 변화될 것이 예상됨. 소비시장 규모는 세계 4위로 올라설 것이 예측됨. 소득 규모 확대에 따른 소비 주체의 변동 추이를 잘 살피고 시장 점유율과 수익성 사이에서 전략적으로 접근하는 것이 필요
□ 평화적인 정권 이양이 계속된다면 미래 중국은 세대교체로 인한 개혁적 활기가 정치 사회 전반에 지속될 것. 정치 주도권이 2012년 ‘건국 이후’ 세대에 이어 2042년에 이르면 ‘개혁개방’ 세대로 넘어가 자유와 평등 의식이 사회 주류가 될 전망
□ 양질의 인력으로 재구성될 인구대국 2030년 인도의 미래는 ‘개방 이후’ 세대가 주도하며 하층 카스트 출신의 총리도 현실화될 전망
<목차>
Ⅰ. 2030, 중국적 특색 있는 미래가 온다
Ⅱ. 2030 중국, 세계 소비의 중심에 선다
Ⅲ. 2030 중국, 세계 에너지 1/4 소비한다
Ⅳ. 2030 중국 경제, 미국을 넘어 세계 1위 된다
Ⅴ. 2030 인도, ‘개방 이후’ 세대가 이끈다
Ⅵ. 2030 인도, 세계 4위 소비시장으로 부상한다
Ⅶ. 2030 인도, 지속 가능한 녹색성장을 꿈꾼다
Ⅷ. 2030 인도, 일본 추월한 제3위 경제대국 된다
Ⅸ. [현지 인터뷰] 2030 중국, 세계 최대 시장으로 부상한다
Ⅹ. [현지 인터뷰] 2030 인도, 경제대국의 밝은 미래 펼친다
XI. 2030 한국, 경제 강국으로 부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