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너뛰기 버튼

본문내용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건너뛰기 버튼

본문내용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최근 중국의 위안화국제화 전략 강화와 글로벌 환경 분석

  • 저자

    이치훈

  • 출처

    국제금융센터

  • 발행일

    2010-09-09

  • 등록일

    2010-09-20

<요약>

ㅁ (이슈) 중국의 위안화 국제화 전략이 기존 위안화 무역결제 촉진 단계에서 최근 위안화 자본
    시장 개방 단계로 점차 심화되는 추세

    ㅇ 중국 인민은행과 홍콩금융관리국이 홍콩에서 보험·펀드 등 위안화 표시 금융 상품 판매를 허용키로 
        협정 체결 <’10.07>
    ㅇ 외국 중앙은행과 은행에 대해 본토 채권시장 거래를 허용할 방침 <’10.08>

ㅁ (영향) 이로 인해 위안화의 대외 활용이 더욱 확대될 전망
    ㅇ 최근 위안화 무역결제 규모 뿐만 아니라, 국제금융시장에서의 위안화표시채권 잔액 규모도 급증 
        추세(‘06년 17억$→‘10년1Q 146억$)
    ㅇ 이미 국제금융중심지로 자리매김하고 있는 홍콩과의 경제 융합이 기존 실물경제 중심에서 금융
        부문으로 확대되어, 위안화의 위상 제고에 크게 기여할 전망

ㅁ (글로벌 환경) 최근 글로벌 통화 다변화 추세 및 과거 기축통화 변화 사례등을 감안할때, 
    향후 위안화 국제화가 보다 탄력을 받을 전망 

    ㅇ 금융위기 이후 달러화 신뢰성 저하, 신흥국 경제력 상승 등으로 글로벌 통화 다변화 현상이 더욱 
        뚜렷
        - 전세계 외환보유액 중 달러화 비중은 ‘09년 1분기 65.2%에서 금년 1분기 사상최저인 61.5%로 
           하락한 반면, 기타통화 비중은 2.1%에서 3.7%로 상승
        - 미달러화 인덱스가 꾸준히 하락하고 있는 반면, 위안화 비중(34.1%)이 큰 아시아통화 인덱스는 
           상승 추세
    ㅇ 최근 세계 및 중국경제 여건 변화는 과거 달러화가 부상했던 시기와 「경제적위상·통화 신뢰성」 
        측면에서 일부 유사성이 있어, 장기적으로 위안화가 주요 기축통화 중 하나로 부상할 여지가 충분
        - IMF는 중국의 GDP 규모가 2015년에 미국의 55.4%(‘09년 34.4%)에 이르고 특히, 구매력 기준으로
           는 미국의 92.4%(‘09년 61.5%)에 달할 것으로 예상

ㅁ (시사점) 중장기적으로 글로벌 통화체제의 다변화 가능성을 포함한 국제금융시장 환경 변화에
    보다 능동적으로 대비할 필요

확인

아니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