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너뛰기 버튼

본문내용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건너뛰기 버튼

본문내용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중국 채권시장의 대외 개방과 향후 전망

  • 저자

    이정진

  • 출처

    국제금융센터

  • 발행일

    2010-12-02

  • 등록일

    2011-01-03

ㅁ (중국 채권시장 발전 현황) 채권발행 및 거래량 급증, 채권시장 기반 확충 및 채권상품 다양
    화 등 양적·질적 성장을 거둠
    ㅇ `09년 중국 채권시장 발행 총액은 8.73조 위안 거래량은 125.9조 위안으로 중국 채권시장 규모는 
         이미 아시아 2위, 전세계 6위로 확대
    ㅇ 결제시스템 개선 등 채권시장의 기반 확충, 후순위 채권 등 상품의 다양화 및 채권시장 대외개방 
        확대 등 질적인 면에서도 발전을 이룸

ㅁ (채권시장 대외 개방) 중국 기관 및 기업의 해외 채권 발행, 외국인의 역내 위안화 채권 
    발행/투자 및 홍콩에서의 채권발행 확대 등 채권시장 대외개방이 가속화
    ㅇ `10년 6월 말까지 홍콩내 위안화표시 채권을 포함한 위안화 국제채 발행잔액은 133억 달러로 `06년 
         말의 17억 달러에 비해 8배 가까이 급증
    ㅇ `10년 8월, 외국계 비금융사로는 최초로 美 맥도날드社는 홍콩내 위안화표시 채권을 발행한 데 
         이어 11월에는 세계 최대 건설장비업체인 美캐터필라社가 10억 위안 규모의 2년 만기 위안화 채권
         을 발행

ㅁ (영향 및 기대효과) 위안화 국제화와 부동산 시장 안정 등에 일조 기대
    ㅇ 채권시장의 대외 개방 확대로 해외 위안화 보유자들에게 가치 증식의 기회를 제공함에 따라 위안화
        사용 및 유통이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
    ㅇ 채권시장의 대외개방은 국내외 투자자들에게 대체 투자처를 제공함으로써 부동산 시장 안정 및 
        핫머니 관리 등에 일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

ㅁ (향후 전망) 해외 위안화 채권발행 확대 등으로 중국 채권시장의 대외개방은 더욱 가속화 될
    전망이며 향후 채권상품 및 투자주체 다양화, 신용평가 등 관련 제도를 정비해 나갈 것으로
    전망
    ㅇ 위안화 절상 기대, 홍콩 역외 위안화 시장 성장 및 기업의 해외 자금 조달 수요 증가 등으로 인한 
        중국 역내/역외 채권 발행은 향후 더욱 증가할 전망
    ㅇ 리스크 헤지 수단 부족, 신용평가 제도 미비 등은 중국 채권시장의 발전을 위해 시급히 개선해야 할
        과제

확인

아니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