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너뛰기 버튼

본문내용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건너뛰기 버튼

본문내용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중국 7대 전략적 신흥 산업의 산업별 정책

  • 저자

    KIEP 북경사무소

  • 출처

    대외경제정책연구원

  • 발행일

    2010-12-30

  • 등록일

    2011-01-17

중국의 7대 전략적 신흥 산업 제기와 함께 구체적이고 본격적인 정책이 전개되고 있음.

- 전략적 신흥 산업은 2009년 원자바오 총리가 주재한 신흥 전략적 산업발전 좌담회에서 제기되었음. 2010년 국무원 회의에서‘국무원의 전략적 신흥 산업육성의 가속화와 발전에 대한 결정(国务院关于加快培育和发展战略性新兴产业的决定)이 심의를 통과하면서 실질적인 정책이 전개되고 있음.

- 7대 전략적 신흥 산업은 에너지 절약과 환경보호, 신흥정보산업, 바이오산업, 신에너지, 신에너지 자동차, 첨단장비제조업과 신소재 등임.

발전방식 전환과 새로운 성장동력이 요구됨에 따라 7대 전략적 신흥 산업의 중요성이 부각됨.

- 경제체제 전환이라는 중요한 시기에 처한 중국은‘기존 발전방식 전환과‘새로운 성장 동력 결핍이라는 배경하에 전략적 신흥 산업이 미래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성장유지에 새로운 동력이자 필연적인 선택임을 인식하고 중장기 경제발전에 있어 정책적으로 중요한 의의를 두고 있음.

향후 7대 전략적 신흥 산업은 국민경제 지주산업(에너지 절약과 환경보호, 차세대 네트워크, 바이오, 첨단장비 제조산업)과 선도산업(신에너지, 신소재, 신에너지 자동차산업)으로 도약할 것으로 예상되며, 현재 2% 수준인 GDP 내 비중을 2015년 8%, 2020년 15%까지 끌어올린다는 계획이어서 향후 7대 전략적 신흥 산업의 발전 전망은 밝다고 볼 수 있음.

확인

아니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