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안화는 경제규모, 통화가치의 안정성에 있어 하드커런시 조건에 근접하고 있지만 금융시장의 개방 측면에서 보면 시간이 필요할 것으로 보임. 그러나 최근에는 위안화 해외투자와 역외 위안화의 역내투자 항목을 개방하면서 개방화에 속도를 내고 있음. 위안화 하드커런시 과정에서 중국의 경제력 강화, 위안화 무역결제 증가, 금융 개방 및 발전 가속화가 예상되면서 한국은 위안화 역외 금융 및 무역 허브로의 부상이 예상됨. 국내 금융기관의 중국내 위안화 채권시장 진출 확대 모색, 원화의 국제화를 위한 SDR 편입 준비, 무역 결제통화 확대에 따른 리스크 검토가 필요함.
<목 차>
1. 미중 환율전쟁 확산과 위안화
2. 위안화의 하드커런시 어디까지 왔나
3. 위안화 하드커런시 전망
4. 시사점과 과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