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0년대 중반부터 중앙은행과 상업은행의 분리, 자본시장 육성 등의 금융개혁이 진행됨에 따라 금리의 가격기능에 대한 요구가 증대되었으나 정부의 금리규제로 자원배분의 왜곡, 금융기관 및 통화정책의 효율성 저하 등의 문제점이 부각. 이러한 배경 하에서 중국 정부는 90년대 중반부터 금리자유화를 추진하기 시작하였으며, 금리자유화는 단기금융시장의 금리자유화, 채권시장의 금리자유화, 은행의 예대금리 자유화 등 3단계에 걸쳐 진행됨. 2000년 이전 단기금융시장과 채권시장의 금리자유화 과정이 마무리되었으며, 2004년 예대금리의 변동폭 확대와 대출금리의 상한선, 예금금리 하한선이 철폐된 이후 금리자유화는 사실상 정지되어 있는 상황
<목 차>
Ⅰ. 서론
Ⅱ. 中 금리자유화 진행 현황 및 평가
1. 中 금리자유화 추진 배경
2. 금리자유화 추진 필요성
3. 금리자유화 진행 현황
Ⅲ. 금리자유화 주요국 사례
1. 한국의 금융자유화 진행 과정 및 영향
2. 美•日 금융자유화 진행 과정 및 영향
Ⅳ. 中 금리자유화 향후 추진 방향
1. 최근 예대금리자유화가 중요한 이슈로 부상
2. 예대금리자유화의 향후 전망
Ⅴ. 거시경제에 미치는 영향 전망
1. 단기적 영향
2. 중장기적 영향
Ⅵ. 은행 경영에 대한 영향 전망
1. 리스크 요인
2. 기회 요인
Ⅶ. 중국에 진출한 외국계 은행에 대한 시사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