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혁개방이후 연평균 10%의 고성장을 구가하며 2010년 세계 제2위의 경제대국으로 부상한 중국경제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최근 들어 경제성장률 감소와 경제 사회 구조적 모순이 누적되면서 성장잠재력이 저하되고 급기야는 ‘중등소득 함정’에 빠질 수도 있다는 것이다. 대외적으로는 미국 재정문제와 유럽 채무위기 등 선진국 경제의 불확실성으로 인해 중국의 대외경제지표가 악화되고 있다. 대내적으로도 투자위주 성장전략에 따른 과잉투자 및 투자효율성 저하, 도농간 지역간 소득불평등 확대, 생산가능인구 감소에 따른 성장잠재력 저하, 지방정부 부채 증대 등 시급히 해결해야 할 문제가 산적해 있다.
시진핑정부는 전임지도부의 경제사회정책인 ‘발전방식의 전환’ 기조를 계승함은 물론 중국경제의 구조적 문제 해결 및 체질 개선을 위한 전략을 새롭게 제시하였다. ‘시진핑노믹스’의 핵심전략은 ‘사람 중심’의 신형도시화, 최저임금인상 및 임금상승 유도를 통한 소득분배개혁, 대기업 육성이 핵심인 산업구조조정, 중소형 공공주택건설 중심의 부동산정책 등이다.
<목 차>
1. 기로에 선 중국경제
2. 시진핑 시대의 경제·사회정책
3. 중국경제 미래 전망
4. 시진핑 시대의 과제
5. 시사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