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너뛰기 버튼

본문내용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건너뛰기 버튼

본문내용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한ㆍ중의 분업구조 변화와 대응전략

  • 저자

    신종호,이수행

  • 출처

    경기개발연구원

  • 발행일

    2013-10-01

  • 등록일

    2013-10-24

한/중/일은 제조업 기반의 상품분야 교역을 통해 세계경제 성장의 견인차 역할을 수행해왔다. 한국과 일본은 중국에 부품/소재 등 중간재를 수출하고 중국은 이를 가공하여 미국과 EU 등 선진국에 완제품을 수출하는 교역관계가 일반적이었다. 한국도 일본으로부터 중간재를 일부 도입 및 가공하여 세계시장에 수출해왔다. 이러한 분업구조로 인해 한국과 일본의 대중국 수출 비중은 2012년 기준 각각 24.5%와 18.1%로 높게 나타나고 있다. 한국의 대중국 수출 중 66%가 중간재이고, 특히 전자/영상/음향/통신기기 부품 및 화합물/화학 소재 분야에 집중되어 있다.
 

<목  차>
1. 한중 분업구조 현황
2. 중국 경제 산업구조의 변화
3. 한중 분업구조 변화와 전망
4. 한국의 대응전략
5. 경기도에 대한 시사점

확인

아니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