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013년 3월에 시작해 2차 협상까지 마친 한·중·일 FTA는 안정적인 역내 내수시장 창출로 높은 역외시장 의존도를 낮추고 3국간 장벽 제거로 기업의 비즈니스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한·중·일 FTA의 타결은 또한 전체 동아시아 차원에서 추진되고 있는 역내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RCEP)
진전의 실질적 전제조건이다. 과거사‧영토문제, 역내 주도권 경쟁 등 불안정 요인이 상존하는 동북아지역내 평화와 안정을 위한 기반 조성이라는 점에서도 한·중·일 FTA는 커다란 중요성을 지닌다.
<목 차>
Ⅰ. 한·중·일 FTA 추진 현황
Ⅱ. 한·중·일 FTA의 가능성과 한계
Ⅲ. 주요 쟁점과 3국의 예상 협상전략
Ⅳ. 협상 전망과 한국의 전략
#. 보고서 찾기: 연구보고서-IIT보고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