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간 가처분 소득 기준 $16,000∼$34,000 범위의 중상층 가구가 가파르게 증가해‘삶의 질’을 중시하는 소비 패턴을 보일 것으로 전망. 한편 주민 서비스업의 경우 소득향상에 따른 시장 성장이 가파르고 타서비스 산업과 달리 현지 진출 규제가 거의 없어 중국내 외국인 투자기업 수가 증가 추세. 생활 서비스시장은 중국인의 소득향상에 비례해 지속적으로 성장할 것으로 보이며 자본금만 충족되면 손쉽게 업계 대형 업체로 자리매김이 가능. 단, 생활 서비스 업종의 경우 해당 산업자체의 진입장벽은 낮은 산업이기 때문에 구전효과와 브랜드 로열티 확립이 매우 중요하고 대형화를 위해 민간의 모험자본을 활용하는 전략이 필요. 정부입장에서는, 사모펀드 등 모험 자본의 서비스업 유입을 활성화 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 서비스 산업에 투자 후 발생하는 수익에 대한 세제혜택 등 지원책을 확대해야 함. 생활 서비스 업종은 개인 창업 혹은 기업의 프랜차이즈에 적합하기 때문에 취업난에 허덕이는 청년 구직자들의 해외 창업 기회로도 활용 가능.
<목 차>
1. 중국내 소비유형의 변화
2. 웨딩, 미용, 세탁 등 생활형 서비스 시장 현황과 가능성
3. 국내 기업에의 시사점
4. 정책적 시사점
#. 보고서 찾기: 연구보고서-트레이드 포커스-10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