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너뛰기 버튼

본문내용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건너뛰기 버튼

본문내용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2011~2013년 중국시장 1등 브랜드의 판도 변화

  • 저자

    김현기, 자오유

  • 출처

    LG 경제연구원

  • 발행일

    2014-04-23

  • 등록일

    2014-05-02

글로벌 기업들에게 있어 중국은 ‘어렵더라도 절대 놓쳐서는 안 되는 시장’이다. 중국 시장 내 1등 브랜드 지형도의 변화는 이 시장의 판세를 읽을 수 있는 하나의 축도다. 중국기업브랜드연구센터(中国企业品牌研究中心)가 공개하고 있는 ‘C-BPI(China-Brand Power Index)’ 즉, 중국 브랜드 파워 지수의 분석을 통해 중국 내 브랜드의 판도와 판도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중국에서의 시장 판세는 토종 로컬 기업들의 약진이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특히, 소형가전, 백색가전을 비롯해 인터넷 서비스업 전반을 로컬의 강자들이 점령해 가는 추세다. 또한, 1등과 2등 브랜드 간의 격차가 줄었고, 1등 브랜드를 차지하기 위한 쟁탈전도 심화됐다. 이 와중에 선전하는 글로벌 기업들의 모습도 눈에 띈다. 확고한 1등을 계속 유지하는 기업들도 있다. 국가별로는 미국계 기업들이 여전히 중국 시장의 지배력을 유지하고 있지만 최근 3년 사이 독일과 한국계 기업들의 약진이 두드러진다. C-BPI에 대한 분석 결과를 밀워드브라운사가 발표하는 ‘글로벌 브랜드 Top 100’의 순위와 비교해 보면, 글로벌과 중국 시장에서 잘하는 P&G 지멘스 BMW, 글로벌도 나름 잘하지만 중국에서 더 잘하는 폭스바겐 KFC 등의 기업이 눈에 띈다. 이들 성공 기업들의 공통점은 중국을 단순히 생산 기지로 보지 않고 제2의 내수 시장으로 접근하고 있다는 것이다. 또한 로컬 기업이 따라오기 힘든 수준의 기술과 품질을 보유하고, 철저히 고객 관점에서 제품을 출시하고, 인재에 대한 현지화는 물론 중국에 대한 이해와 존중이 남다른 것으로 나타난다.

<목 차>
1. 세계 제2의 소비 시장
2. 중국 시장에 통하는 1등 브랜드
3. 글로벌 기업 유형별 성공 사례
4. 맺음말

확인

아니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