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제조업은 국내외 시장환경의 악화와 산업체인 상하방으로부터의 압력을 극복하기 위해 산업 구조조정(制造业转型升级)에 주력하고 있음.
‘12․5’시기 이후 중국경제는 이미 고속성장에서 저성장 시기로 진입하였으며, 세계 선진국과 신흥경제국들의 경제성장 동력도 미약한 상황임.
중국은「공업전환업그레이드규획(工业转型升级规划)(2011-2015)」을 시행하여, 발전방식의 전환과 기술 및 조직의 전면 최적화를 통한 산업 구조조정을 촉진하고자 함.
관련 조사 연구를 통해, 현재까지 중국 산업 구조조정은 단계적인 성과를 거두었으며, 중국 제조업이 가치사슬의 고부가가치 단계로 뻗어나가고 있음을 확인함.
제조업 내부구조가 크게 개선되고, 정보화혁명이 추진되고 있으며, 생산적 서비스 산업이 확대되고, R&D 투입이 증가하는 등 그 성과가 드러나고 있음.
광둥성과 저장성에 대한 조사와 전국의 여러 산업 및 기업을 대상으로 진행한 실지 조사에서도 산업 구조조정의 성과를 확인할 수 있음.
중국이 글로벌 제조업의 중심으로서 강한 경쟁력을 유지하고 세계적 경제 전환과 구조조정 과정에서 확고한 위치를 장악하기 위해서는 시기적절하게 현안과제를 해결하고 산업 구조조정에 박차를 가할 필요가 있음.
핵심 경쟁력과 제조업 효율을 제고시키고, 생산 비용을 절감하며, 산업공동화 ‧ 외자 이탈 ‧ 과잉설비 현상을 해결하는 등 아직 해결되지 않은 제조업의 여러 현안에 대한 적절한 대책이 필요함.
<목 차>
1. 산업 구조조정의 최근 성과
2. 산업 구조조정의 현안문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