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성적 적자품목이었던 화장품의 무역수지가 對中 수출확대에 힘입어 2014년 3~8월 사상 처음으로 흑자 기조로 전환되었다. 수출 제 1위 시장인 중국과의 FTA가 타결되고 중국의 소비세가 인하될 경우 향후 수출은 더욱 확대될 것으로 기대된다.
우리나라의 화장품 무역수지 흑자는 2014년 8월까지 1억 4,766만 달러를 기록했으며, 동기간 對中 수출은 2억 9,088만 달러를 달성해 수출기여율은 39.9%로 나타나 향후 FTA와 소비세 인하 등 對中 수출여건이 개선될 경우 흑자 기조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처럼 對中 수출이 확대되는 이유는 최근 중국의 젊은 층을 중심으로 실용적이고 합리적인 가격대의 상품이 인기를 끌면서 우리나라 화장품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상해지역 여성 소비자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 한국産 제품은 ‘합리적인 가격대의 좋은 품질을 갖춘 상품’이라는 이미지를 갖고 있어 이를 마케팅에 적극 활용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중국 소비자의 우호적인 인식을 바탕으로 한․중 FTA, 중국의 소비세 인하 등 기회요인을 잘 활용할 경우 對中 화장품 수출 증대와 더불어 무역수지 흑자 확대가 가능할 전망이다. 30%에 달하는 소비세와 9~10%의 관세가 인하․철폐되면 우리 기업의 對中 수출 환경이 크게 개선될 것으로 기대된다.
한국産 화장품은 최근 중국 국경절 연휴기간 한국을 찾은 중국인 관광객의 쇼핑 1위 품목일 정도로 인기가 높다. 이에 中 화장품 수출 호조가 지속․확대되기 위해서는 한․중 FTA를 통해 화장품 관세를 조기에 철폐해야 할 것이다.
<목 차>
1. 2014년(1∼8월) 화장품 무역수지, 사상 처음으로 흑자 기조 전환
2. 제 1위 시장 중국, 세계 화장품 브랜드의 격전지
3. 중국 소비자의 한국 화장품에 대한 인식
4. 소비세 조정 이슈, 한․중 FTA로 수출 기상도 맑음
5. 결론 및 시사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