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중국이 위안화 상승, 임금인상, 각종 규제 등으로 생산기지로서의 매력을 상실하면서 아시아 신흥개도국이 중국을 대체할 ‘세계의 공장’으로 부상하고 있음. 이들국가는 젊은 노동력이 풍부하고 외국기업 유치에 적극적인데다 비교적 높은 경제성장을 지속하고 있어 글로벌 기업의 진출이 늘고 있는 한편, 중국 이후의 생산거점 확보에 나서는 우리기업의 관심도 갈수록 높아지고 있음. 그러나 인건비, 임대료, 공공요금 등 각종 투자관련 비용이 꾸준히 상승하고 있고 인프라 부족 및 공공부문부패 등의 문제점이 제기되고 있어 진출시 ▲투자관련 비용, FTA활용 측면, U턴기업 지원정책 ▲해당국의 인프라 수준과 국가 안정성 등 내재된 리스크 ▲ 장기적 관점에서소비시장으로서의 가능성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음
<목 차>
1. 생산기지로서의 위상 하락하는 중국
2. 중국 대체지로 재조명 받는 아시아 신흥개도국
3. 아시아 신흥 9개국의 투자관련 비용은?
4. 시사점
#. 보고서 찾기: 연구보고서-트레이드 브리프-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