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역업계 70% ‘한·중 FTA중국시장 진출 도움된다’
- 무협, 한·중 FTA타결 계기 對中수출입 업체,
중국 현지 투자 진출 업체 등 1,212개사 설문조사 -
무역업계는 한‧중 FTA가 중국 시장 진출에 도움이 되고 對中 수출 증가와 중국 및 제3국 기업으로 부터의 투자 유치가 확대될 것으로 전망하는 한편, 중국 기업의 경쟁력 향상 및 경쟁 심화를 우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연구원(원장 오상봉, http://iit.kita.net)은‘무역업계가 전망한 한‧중 FTA’보고서를 통해 한‧중 FTA가 무역‧투자 등 우리 기업의 비즈니스 전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對中 수출입 업체(898개사), 對中 수출입이 없는 업체(134개사), 중국 소재 현지 투자 진출 업체(180개사) 등 총 1,212개사가 응답한 이번 조사에서(표본오차 95% 신뢰수준 ±2.8%p) 무역업계의 70%는 한‧중 FTA가 중국 시장 진출 및 확대에 도움이 된다고 답변했다. 한‧중 FTA 타결 여부가 주목되는 시점에서 무역업계의 기대감을 확인할 수 있는 대목이다.
보고서에 따르면 對中 수출업체(525개사)의 55.2%는 한‧중 FTA로 對中 수출이 늘어나고 증가폭은 ‛14년 對中 수출대비 평균 22.73%(연간)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다. 對中 수입업체(561개사)의 경우 응답기업의 61.1%가 FTA로 對中 수입이 늘어나며 증가폭은 ‛14년 對中 수입대비 평균 24.81%(연간) 증가할 것으로 내다봤다. 중국에 위치한 현지 투자업체(180개사)도 FTA로 對中 수출은 24.89%, 對中 수입은 20.41% 늘어날 것으로 전망했다. 무역업계 전반적으로 FTA 이후 對中 교역의 큰 폭의 증가를 예상한 것이다.
* 對中 수출입 업체 898개사 가운데 對중국 수출 경험이 있는 기업은 525개사, 수입경험이 있는 기업은 561개사임
투자와 관련, 무역업계는 우리 기업의 對中 투자 확대보다는 중국 기업이나 제3국 기업으로 부터의 對韓 투자 유치가 유망하다고 내다봤다. 對中 수출입 업체 가운데 한‧중 FTA 이후 중국에 대한 기존 투자를 확대하겠느냐는 질문에 21.6%가 그렇다고 답했고 신규 투자 계획이 있다는 기업은 16.8%였다. 반면, FTA를 계기로 중국 기업 및 제3국 기업으로부터의 對韓 투자가 늘어날 것으로 보느냐는 질문에 응답기업의 51.4%가 증가할 것으로 내다봤다. 한편, 중국에 이미 진출한 기업들도 기존 투자 확대 계획(22.8%) 보다는 투자 유치 전망(32.8%)에 긍정적으로 답했다.
설문조사에서 우리기업들은 중국 기업의 부상에 주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중국 시장內 최대 경쟁자를 묻는 질문에 對中 수출 기업들은 중국 로컬 기업들을 최대 경쟁자(응답기업의 44.4%)로 꼽았고 FTA 이후에는 이들 기업과의 경쟁이 더욱 치열해질 것(44.4%→50.3%)으로 내다봤다. 중국 현지 진출 기업들 역시 현시점의 최대 경쟁자로 중국 로컬 기업(56.7%)을 꼽았고 FTA 이후 이들과의 경쟁이 본격화될 것(56.7%→65.0%)으로 전망했다.
한‧중 기업 간 품질 격차도 향후 수년 내 따라 줄어들 것으로 전망되었다. 對中 수출입 업체들은 현시점에서 중국 기업의 품질이 우리 기업 보다 낮다(61.1%)고 진단했으나 5년 뒤에는 그 비율이 큰 폭으로 낮아지고(61.1%→42.2%) 10년 후에는 우리와의 품질 경쟁력이 동등(41.9%)하게 될 것이라는 의견이 주를 이루었다. 품질과 함께 가격 요인을 고려할 경우(품질+가격) 역전까지도 우려하고 있었다. 현시점에서 중국 기업의 품질+가격 경쟁력은 우리보다 낮다(52.6%)는 의견이 많으나 5년 후에는 우리와 동등하다(39.6%)는 의견이 다수를 차지했고 10년 뒤에는 우리보다 앞설 것(38.9%)으로 내다봤다. 무역업계는 한‧중 FTA 효과의 기대감 속에서도 중국 기업의 급격한 부상에 경계감을 나타낸 것이다.
보고서는 끝으로 우리 무역업계가 보는 한‧중 FTA 기대효과로 ①기존 거래 관계 강화, ②중국 내수시장 진출 발판 마련, ③중국 로컬 기업대비 경쟁력 제고, ④신규사업 기회 제공 등을 꼽았다. 무역협회 국제무역연구원의 명진호 수석연구원은 “우리 기업의 한‧중 FTA를 통한 중국 내수시장 공략에 대한 기대감이 감지된다”면서“한‧중 FTA 발효 전까지 FTA 활용을 위한 업계의 내실있는 준비가 절실하다”고 덧붙였다.
한편, 이번 설문조사는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연구원이 코리아리서치에 의뢰해 지난 9월 22일~10월 31일 동안 실시했으며 조사대상은 무역업계를 대상으로 랜덤으로 표본을 추출하여 총 1,212개* 업체가 응답했다.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2.8%p다.
* 응답업체 1,212개사는 對중국 수출입 업체 898개사, 對중국 수출입이 없는 업체 134개사, 중국 현지 소재 투자 진출 업체 180개사로 구성
<목 차>
I. 조사 개요
II. 조사 내용
1. 對중국 수출입 업체
2. 對중국 수출입이 없는 업체
3. 중국 현지 소재 對中 투자 진출 업체
4. 응답 업체 전체
Ⅲ. 결론 및 시사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