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너뛰기 버튼

본문내용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건너뛰기 버튼

본문내용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한중 FTA 타결에 대한 해외시각

  • 저자

    이정화,이상원

  • 출처

    국제금융센터

  • 발행일

    2014-11-11

  • 등록일

    2014-11-17

ㅁ [한중 FTA 타결에 대한 해외시각] 해외 IB들은 11.10일 타결된 한중 FTA로 양국간 교역이 확대될 것으로 기대하면서도, 동 협정이 한국경제에 미칠 영향 분석에 대해서는 신중한 입장을 견지
ㅇ 한중 FTA는 중국의 거대한 내수시장 선점을 위한 초석으로 작용할 것이며, 동 협정 발효시 한국의 FTA 시장은 글로벌 GDP의 73%까지 확대될 것으로 예상
ㅇ 다만, Nomura는 한중 FTA로 양국간 비관세장벽도 완화되면 한국 제조기업의 중국이전이 확대되고 이는 국내 일자리 감소 및 임금상승 둔화로 이어져 장기적으로  내수가 둔화될 수 있다고 우려
ㅇ 한편, Credit Suisse는 한중 FTA 체결로 대만의 대중 수출중 30% 이상에 대해 한국의 경쟁력이 높아질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향후 대만이 중국과의 상품무역협정 협상을 가속화할 것으로 전망

ㅁ [소비 및 수출 증가로 경기회복세 지속 전망] Morgan Stanley는 정부의 내수부양 정책 지속에 따른 민간소비 회복, 미국 경기회복에 따른 수출모멘텀 지속 등으로 내년에도 4.1%의 경제성장을 이어갈 것으로 예상 
ㅇ 고용시장 안정, 부동산회복, 소비심리 개선, 금리인하에 따른 가계의 이자  부담 완화 등에 힘입어 민간소비 회복이 가속화될 것으로 기대
ㅇ 대외불확실성 확대에 따른 기업심리 악화로 투자는 둔화되겠으나, 미 경기 회복이 수출을 견인할 것으로 예상. 다만, 중국경제 향방에 주목할 필요

ㅁ [달러화대비 원화약세, 엔저영향을 상쇄할 전망] Goldman Sachs는 향후 달러화대비 원화약세 심화시 일본과 직접적 경쟁관계가 없는 산업 수출에 도움이 되어, 엔화대비 원화강세가 전체 수출에 주는 부정적 영향을 상쇄할 것으로 예상
ㅇ 일본과 직접적 경쟁 관계에 있는 자동차 및 부품, 철강, 화학 등의 기업이 전체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1/3을 하회하는 점을 상기
ㅇ 국내기업들이 환율변동에도 가격과 영업전략을 변경하지 않고, 해외생산을 고려하지 않는다는 가정하에, 달러화대비 원화가치 10% 하락시 수출기업 이익이 2.5% 개선될 것으로 추정


 

확인

아니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