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공산당은 2013년 11월에 개최된 제18기 중앙위원회 제3차 전원회의에서(18기3중전회) <전면적인 개혁 심화의 몇 가지 중대 문제에 관한 중국공산당 중앙의 결정>을 통과시킴으로서 시진핑 집권기 심화개혁(深化改革)을 핵심으로 하는 국정운영 기조를 제시했다. 이는 개혁개방 이후 30여 년 동안 고도 성장기를 구사했던 중국이 그동안 누적된 체제적 문제점들을 재정리하고 업그레이드하기 위한 새로운 패러다임으로의 전환이 본격화되었음을 의미한다.
『전환기 중국의 심화개혁(Deep Reform)』은 2014년 한중DB INChina Brief에 실린 보고서 가운데 22편을 선별하여 수정·보완을 거쳐 재편집한 것이다. 2014년 인천발전연구원 한중DB는 INChina Brief의 연간 기획시리즈인 <중국의 Deep Reform>, <도시정보> 및 <국내외 주요 정책이슈>를 통해 심화개혁을 기치로 내 건 중국의 개혁조치와 정책을 종합적으로 살펴보고 그 향방을 가늠하고자 하였다. 또한 <한중지방교류> 기획을 통해 심화개혁의 전환기에 한국과 중국의 교류 현황을 지역 별로 진단하고 대 중국 교류·비즈니스 지방외교의 과제를 살펴보았다.
<목 차>
1부 시진핑 정부의 Deep Reform
1. “약화되는 정당성, 진화하는 통치술” - 시진핑 시대 중국 통치모델 탐색 장윤미
2. 시진핑 시대 반부패 운동의 정치적 함의 이문기
3. 시진핑 시대 국유기업 개혁 심화 - 핵심 정책의 평가 및 시사점 이홍규
4. 중국 금융시장의 구조개혁 가속과 시사점 한재진
5. 중국『신형 도시화 계획 2014-2020』주요 내용과 시사점 김수한
2부 중부권역 거점도시 육성전략
1. 중국 권역거점도시 발전·분포 현황과 시사점 김수한
2. 중국 중원 거점도시, 정저우(郑州)시 발전현황 분석 김수한
3. 중부 핵심 거점도시, 우한(武汉)시 발전현황 분석 김수한 외 1명
4. 중국 중남부 신거점, 창사와 창주탄도시군 발전현황 김수한 외 1명
5. 지역혁신체제수립과 지역경제발전 –허난(河南)·안후이(安徽)성의 사례 송영현
3부 국내외 주요 정책이슈
1. 중국 주택시장 동향 및 2014년 전망 이기영
2. 중국 농민공 현상의 지속과 변화 -『2013 전국농민공모니터링조사』분석 김수한
3. 한중 도시교류와 인문유대:인천-톈진 사례 김수한
4. 흔들리는 ‘일국양제(一國兩制)’: 홍콩 시위로 보는 중국의 미래 장윤미
5. 북중 초국경 협력 현황과 시사점 주장환
6. 최근 북중 접경협력 동향과 관련 법제 분석 김수한
4부 한중 지방교류
1. 충남도의 대중국 교류 현황과 과제 박경철 외 1명
2. 인천광역시의 대중국 교류 현황과 과제 - 도시외교, 통상·물류·투자를 중심으로 김수한 외 2명
3. 부산광역시의 대중국 교류 현황과 과제 장정재
4. 경기도의 대중국 교류 현황과 과제 신종호 외 2명
5. 제주도의 대중국 교류 현황과 과제 정지형
6. 한중관계 내실화와 중국인 유학생 - 인천 중국인 유학생 현황 김수한
부록
2005~2014년 목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