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개혁개방 이후 지금까지 중국기업의 해외직접투자는 5단계 과정을 거치며 확대되었으며, 1979년 8월 국무원이 중국기업의 해외기업 설립허가를 공포하면서 본격화되었음.
- 초기 중국의 해외직접투자는 신규투자(Green-Field)가 주를 이루었으나, 최근 투자효과가 빠르고 시장과 기술을 동시에 획득할 수 있는 인수합병(M&A) 방식이 증가하고 있음.
- 그동안 국유기업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던 해외직접투자가 점차 민간기업 주도의 투자로 변화되면서 빠른 증가세를 보이고 있으며, 지역별로는 여전히 아시아에 대한 투자가 압도적이지만, 미국과 유럽 등지에 대한 투자건수도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임.
▣ 국제연합무역개발협의회(UNCTAD)에서 발표한 ‘2014세계투자보고서(2014年世界投资报告)’에 따르면, 2013년 전체 해외직접투자액이 1.41조 달러로 2013년 말 기준 투자누계 총액이 26.31조 달러를 기록하였으며, 중국의 해외직접투자 점유율이 세계 3위를 기록함.
- 2013년 중국의 해외직접투자액은 1,078.4억 위안으로 전년대비 22.8%성장, 그중 신규투자가 307.3억 달러로 28.5%를 차지하였고, 이윤재투자는 383.2억 달러로 35.5%, 기타투자는 387.9억 달러로 36%를 차지함.
▣중국정부는 ‘저우추취(走出去)’전략을 적극 시행하여 비교우위를 확보한 기업의 해외직접투자를 장려하고, 국제적인 경제기술 합작분야를 확대하여, 기업의 다국적 경영을 통한 글로벌화 촉진을 지원하고 있음.
- 향후 산업구조의 변화에 따른 중국기업의 글로벌화 및 해외시장 점유 확대 등을 목표로 추진되는 해외투자가 더욱 활발히 이루어질 전망임.
<목 차>
1. 해외직접투자 정책의 추진과정
2. 중국의 해외직접투자 현황과 문제점
3. 중국 전문가 평가와 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