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너뛰기 버튼

본문내용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건너뛰기 버튼

본문내용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소비재 격전지 중국, 아시아 문화 특색이 반영된 고급화 전략으로 승부해야

  • 저자

    정혜선

  • 출처

    KITA

  • 발행일

    2015-06-02

  • 등록일

    2015-06-11

소비재 격전지 중국, 선진국과 한판 승부 나설 때


중국 소비재 시장 판도가 바뀌고 있다. 소비재 수요 고급화로 수입 수요가 유럽, 미국 등 선진국으로 옮겨가는 반면 우리나라의 시장 점유율이 지속적으로 하락하고 있어 중국 시장 공략을 위한 새로운 전략마련이 요구된다.
최근 중국의 소비재 수입규모는 2007년 435억 달러에서 2014년 1,576억 달러까지 성장한 반면 우리나라의 점유율은 동기간 6%에서 4.5%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독일(+3%p), 이탈리아(+1.8%p), 미국(+2.1%p) 등 선진국의 점유율은 상승해 우리와 대조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다.
시장규모 확대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의 점유율이 하락한 데는 선진국과의 심화된 경쟁이 주된 원인으로 작용했다. 우리나라가 2007년 중국시장 점유율 1위를 기록한 품목 가운데 2014년에는 1위 자리를 빼앗긴 품목 48개를 분석한 결과 대부분이 이탈리아(11개), 프랑스(4개), 기타 EU국가(5개) 등 유럽국가에 의해 추월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응하기 위해 중국의 소비재 수입수요가 확대일로에 있는 만큼 對中 소비재 수출 확대를 위해 중장기적으로 한중 FTA의 관세인하효과를 활용하는 한편 주요 경쟁국으로 부상한 유럽, 미국과 차별화되는 고급화 전략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특히 한중 FTA로 주요 수출 유망품목의 관세가 철폐되기까지 10∼20년이 걸려 단기적 효과는 크지 않지만 중국이 우리나라의 경쟁국인 EU, 미국 등 선진국과 FTA를 체결하는 데에는 상당한 시일이 걸릴 것으로 예상되므로 활용 여지는 충분하다. 향후 중국 소비재 시장에서 우리 기업들의 실제 경쟁 상대는 선진국이라는 점을 유념하여 장기적으로는 한중 FTA 관세인하효과를 누리는 한편, 경쟁국인 유럽과 차별화된 아시아의 문화적 특색이 담긴 고급화 전략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목 차>
1. 중국의 소비재 수입 동향
2. 한국의 중국 소비재 시장점유율은 지속 감소
3. 중국의 對한국 소비재 수입 비중 하락 원인
4. 對중국 소비재 수출과 한·중 FTA
5. 결론 및 시사점

 

확인

아니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