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너뛰기 버튼

본문내용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건너뛰기 버튼

본문내용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중국 제조업의 현황 및 중국 정부의 경쟁력 강화 방안

  • 저자

    전익호, 신미경

  • 출처

    한국은행

  • 발행일

    2015-08-06

  • 등록일

    2015-08-19

◆ 중국이 1978년 개혁개방 이후 투자 및 수출위주 경제성장전략으로 달성한 고도성장은 저임 노동력의 공급과 자본의 집약적 이용을 통해 제조업이 비약적으로 발전한 데 주로 기인
ㅇ 그러나 저출산, 고령화 등 인구구조 변화에 따른 생산요소비용 상승, 자원이용 제약, 환경문제 등으로 투자 및 수출증가율이 둔화되면서 산업 구조조정 및 고도화, 품질개선 등을 위한 새로운 제조업 발전전략이 필요

◆ 이에 따라 중국 정부는 제조업의 경쟁력을 강화함으로써 1단계로 2025년까지 제조강국 대열에 진입하고 2단계로 2035년까지 제조강국의 중간수준까지 도달한 뒤 건국 100년이 되는 2049년에는 세계 선두 제조강국으로 도약한다는 중장기비전을 제시(중국제조 2025)
ㅇ 선진 제조강국 도약을 위해 제조업 혁신력 제고, IT기술과 제조업 융합 등 9대 과제를 우선적으로 달성하고, 차세대 IT기술, 항공우주장비 등 10대 전략산업을 육성함과 아울러 국가 제조업 혁신센터 구축, 스마트 제조업 육성 등 5대 중점 프로젝트를 추진할 방침

◆ 우리나라도 <제조업 혁신 3.0> 전략을 통해 제조업의 경쟁력을 강화함으로써 2024년에는 제조업 4강을 목표로 하고 있으나 주력산업과 많은 업종에서 경쟁관계에 있는 중국이 선진 제조강국으로 부상할 경우에 대비할 필요
ㅇ 모든 주력산업에 대해 중국과 경쟁하기보다 경쟁력이 월등히 우월하거나 앞으로도 경쟁우위를 유지할 가능성이 높은 업종에 대해서는 역량을 더욱 집중하여 현재의 시장지배력을 유지할 필요
ㅇ 추월이 예상되거나 경쟁이 더욱 치열해 질 것으로 예상되는 업종에 대해서는 구조조정을 통하여 과감히 정리하거나 중국과 협력체제를 강화하는 등 보다 신축적이고 전략적인 대응이 필요


<목 차>
1. 검토 배경
2. 중국 제조업의 현황 및 문제점
3. 중국의 제조업 경쟁력 강화 방안
4. 평가 및 전망

확인

아니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