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산업의 중국 내 동북아국가들의 경쟁구조 분석 [제3권] 중국 주요 산업(환경설비, 식품)의 발전 방향과 한중 협력 방안
- 저자
축경사, 한일군 외
- 출처
산업연구원
- 발행일
2015-12-31
- 등록일
2016-01-21
한국의 환경산업은 2010~2012년 연평균 성장률 20% 이상을 기록하는 등 빠른 성장을 거두었다. 2012년 매출액이 82조원(약 750억 달러)을 넘어서면서 전 세계 환경시장점유율이 0.8%에 달했다. 한국은 대기오염 관리, 수처리, 폐기물 처리, 오염토양 복원 등에서 기술 경쟁력을 지니고 있으며, 대기업과 중소기업이 협력을 통해 동반성장하고 있다. 대기업은 주로 하수처리장, 대형석유화학환경공사, 제철소배출열회수공사 등 건설분야를, 중소기업은 에너지절감·친환경설비 등 생산분야를 담당하고 있다.
경제가 발전하고 국민 생활수준이 향상됨에 따라 향후 중국 식품산업은 늘어나는 식품소비와 건강에대한 수요를 만족시켜야 한다. 이를 위해 구조조정, 성장모델전환, 품질향상, 안전보장, 혁신역량제고, 클러스터집적발전, 기업여신관리제도구축, 산업사슬 전반의유기적연계, 안정적 공급과높은품질의친환경 식품산업을 만들어 지속적으로 발전시킨다. 위생안전, 건강, 과학기술활용, 혁신발전, 계획수립, 조화로운 발전, 종합이용, 친환경발전의 원칙을 준수한다.
<목 차>
1부 중국 환경설비산업 발전방향 및 한중 협력방안
2부 중국 식품산업 발전방향 및 한중 협력방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