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너뛰기 버튼

본문내용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건너뛰기 버튼

본문내용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2015 중국 2선도시 수출 잠재품목 발굴 및 마케팅 전략 조사

  • 저자

    농수산식품유통공사

  • 출처

    농수산식품유통공사

  • 발행일

    2016-04-12

  • 등록일

    2016-06-15

중국의 농식품 시장은 2013년 기준 9,989억 달러에 달할 정도로 거대한 규모이며, 연평균 증가율 14%로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임
중국 내 화동(23.2%), 화남(19.6%), 화북(16.1%), 화중(15.3%) 지역의 농식품 시장 규모가 다른 지역 대비 큼

중국은 한국 농식품 수출액 규모 2위의 중요한 교역국으로 부상
2013년 우리나라의 국가별 농식품 수출 현황은 일본이 1,287백만 달러로 1위이며, 그 다음으로 중국이 948백만 달러로 규모로 2위를 차지함
한∙중 수교 이후 중국 시장 농식품 수출 중가, 한∙중 FTA 체결, 지속적인 한류 열풍등 거시적인 변화로 중국은 농식품 수출 시장 잠재력이 큼

<목 차>
제1장. 조사 개요
Ⅰ. 조사 배경 및 목적
1. 조사 배경
2. 조사 목적
Ⅱ. 연구 수행 절차 및 방법
1. 수행 절차
2. 수행 방법
 
제2장. 2선도시 잠재품목 후보군 선정
Ⅰ. 잠재품목 후보군 선정
1. 잠재품목 후보군 선정 과정
2. 잠재품목 후보군 선정 결과
Ⅱ. 2선도시 잠재품목 후보군 결과
1. 잠재품목 후보군
2. 중국 맛 테스트 잠재품목 후보군
3. 그룹별 잠재품목 후보군
 
제3장. 2선도시 잠재품목 선정
Ⅰ. 잠재품목 선정 과정
1. 잠재품목 선정을 위한 고려사항
2. 잠재품목 선정 방법
Ⅱ. 잠재품목 선정 결과
1. 칭다오
2. 충칭
3. 시안
4. 잠재품목 도시별 선정 결과 요약
 
제4장. 조사 지역현황
Ⅰ. 2선 도시에 대한 이해
1. 1. 중국 도시 등급 기준
2. 2. 각 등급 별 대표 도시
3. 3. 조사 2선도시에 대한 요약
Ⅱ. 칭다오
1. 도시개요
2. 식문화 특징 및 트랜드
3. 일반적인 인식 및 라이프 스타일
4. 식품 유통의 특징
5. 물류현황
6. 수입 식품에 대한 태도 및 구매 행태
7. 한국 식품에 대한 태도 및 구매 행태
8. 유통 전문가 프로파일
Ⅲ. 충칭
1. 도시개요
2. 식문화 특징 및 트랜드
3. 일반적인 인식 및 라이프 스타일
4. 식품 유통의 특징
5. 물류현황
6. 수입 식품에 대한 태도 및 구매 행태
7. 한국 식품에 대한 태도 및 구매 행태
8. 유통 전문가 프로파일
Ⅳ. 시안
1. 도시개요
2. 식문화 특징 및 트랜드
3. 일반적인 인식 및 라이프 스타일
4. 식품 유통의 특징
5. 물류현황
6. 수입 식품에 대한 태도 및 구매 행태
7. 한국 식품에 대한 태도 및 구매 행태
8. 유통 전문가 프로파일
 
제5장. 잠재품목별 마케팅 전략
1. 쌀
2. 천혜향/황금향
3. 인삼류(산양삼)
4. 참외
5. 딸기
6. 포도
7. 고추장
8. 김치
9. 유아용 식품
10. 초코바(에너지바)
11. 너비아니
12. 즉석조리식품
13. 말린(동결건조) 과일
14. 감자칩

확인

아니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