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너뛰기 버튼

본문내용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건너뛰기 버튼

본문내용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중국 해외 전자상거래 현황 및 정책

  • 저자

    어은주

  • 출처

    제주발전연구원

  • 발행일

    16-05-30

  • 등록일

    2016-06-23

▷ 2000년대부터 유학생과 아웃바운드 관광객 수의 증가, 주민소득 증가와 인터넷의 보편적 사용으로 많은 중국 소비자들은 해외 제품을 선호함
▷ 2010년부터 해외직구 규모는 가파른 상승세를 보였으며, 2015년에는 2,064억 위안에 달하여 2008년 42억 위안에 비해 50배 증가함
▷ 2008년 중국 수출입총액 중 전자상거래 규모는 4%에 달하지만, 2013년 10%를 초과, 2015년 20.2%에 달함
▷ 현재 중국경제는 저성장 시대에 진입하였으며, 무역 또한 부진한 실적을 보이고있어 중국 정부는 인터넷과 전통산업을 결합한 ‘인터넷+‘ 정책을 선보임
▷ 2012년부터 정부는 10개 도시를 해외 전자상거래 시점도시로 선정하였으며, 2015년 3월 중국(항저우)해외 전자상거래 종합시험구를 설립하고, 2016년 1월 12개 전자상거래 종합시험구 설립을 허가함
▷ 2016년 3월 중국 재정부는 국경간 전자상거래 행우세를 포함한 세수정책 조정방안(实施跨境电子商务零售进口税收政策 并调整行邮税政策)을 발표하였음
▷ 따라서 중국의 해외 전자상거래 종합시험구 설립과 세율 조정은 한·중 및 제주-중국의 무역에 어떤 영향력을 행사할지 관심이 집중됨

 

<목 차>
1. 중국 전자상거래 발전
2. 정부 지원정책
3. 시사점

 

확인

아니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