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 2014년까지 중국의 내수시장은 내구재 수요를 중심으로 성장해 왔으며, 이는 글로벌 가치사슬의 확장과 맞물려 국내 산업들, 특히 전기 및 전자 기기를 비롯한 중화학 제조업의 성장에 크게 기여해 왔다. 그러나 최근 중국은 성장속도의 둔화와 함께 서비스 중심으로의 산업구조 전환을 동시에 경험하고 있다. 내수시장에서도 동일한 과정이 진행될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그간 이른바 ‘중국특수’를 누렸던 중화학산업들이 상대적으로 큰 타격을 입을 것으로 추정된다. 정책담당자들과 산업 일선에서는 중국경제의 이러한 변화를 이해하고 사업구조 재편 등의 선제적인 대응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중국 내수시장의 변화에 대한 보다 심층적인 연구도 병행될 필요가 있다.
- 2014년까지 중국의 내수시장은 내구재에 대한 수요를 중심으로 빠르게 확장되었다.
- 내구재 중심의 중국 내수 성장은 글로벌 가치사슬의 확장과 맞물려 한국경제의 성장에도 큰 기여를 해왔다.
- 국내 산업 중에서도 중국의 내구재 생산과 관련이 큰 중화학 제조업이 가장 많은 수혜를 입었다.
- 그러나 최근 중국은 경제성장률 저하와 함께 서비스 중심으로의 산업구조적 변화를 동시에 겪고 있고 내수시장에서도 동일한 현상이 진행될 것으로 보인다.
- 사실 서비스로의 내수 전환은 현재 중국의 경제구조와 소득수준을 감안했을 때 자연스러운 현상이다.
- 중국의 경제성장률 감소와 내수시장의 구조적 변화는 그동안 ‘중국특수’를 누렸던 국내 주력산업들의 성장에 상대적으로 더 큰 타격을 줄 것이다.
- 최근 중국에서 일어나는 현상들을 산업구조적 변화의 일환으로 본다면 향후 중국의 변화 방향에 대해 예측이 가능해진다.
- 중국경제의 변화를 이해하고 사업구조 재편 등의 선제적 대응책을 마련해야 한다.
- 중국의 내수시장 변화에 대한 보다 심층적인 연구도 병행될 필요가 있다.
<목 차>
Ⅰ. 서론
Ⅱ. 중국 내수시장의 성장과 국제적 분업구조
Ⅲ. 중국경제의 구조적 변화
Ⅳ.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