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국은 개혁개방 이후 실물경제의 비약적인 성장, 금융시장의 개방 및 활성화, 글로벌 질서 재편성을 이루면서 세계 경제의 핵심 축으로 부상
o【실 물】빈곤국가(Poverty) → 경제규모 세계 2위, 세계 최대 교역국으로 변모 → 경제대국(Economic Power)
o【금 융】금융변방(Peripheral) → 자본수출국으로 변화, 미 국채 최대 보유국, 위안화 국제화 → 금융대국화(Core)
o【질 서】규칙수용자(Rule Taker) → AIIB·NDB 등 중국 중심 질서 추진, 중국식 표준 설정 및 확산 → 주도자(Leader)
◆ 중국과의 공존 가능성, 경제성장의 지속가능성, 중국의 역할 측면에서 다양한 의견들이 제기되고 있으며 크게 3대 시각으로 분류
①위협론 : 글로벌 정치·경제 안정과 질서에 부담 또는 위협이 될 수 있다는 견해
②위기론 : 구조적 취약점들이 계속 누적될 경우 중국경제가 경착륙할 가능성, 기업부실·부동산버블·금융시스템리스크·사회불안 등 4대 문제에 주목
③기회론 : 중국 경제규모와 시장이 세계경제 성장과 발전의 기회를 제공할 수 있음
◆ 3대 시각은 오늘날 중국의 다양한 측면과 복합적 성격을 보여주는 인식들로, 진행과정에 따라 현실화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으며 대응 전략이 필요
▶ (모니터링 강화) 정치·외교·경제·사회 등 중국 전반의 동향과 흐름을 치밀하게 분석·파악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
▶ (구조개혁 강화) 가계부채, 기업구조조정, 노동경직성 등 우리경제의 취약요인들에 대한 구조개혁을 강도 높게 추진할 필요
* 구조개혁은 우리경제의 성장잠재력 확충뿐만 아니라 대외충격에 대응할 수 있는 체질 강화를 위해서도 매우 중요
<목 차>
Ⅰ. 검토 배경
Ⅱ. 중국 경제의 위상 변화
Ⅲ. 중국의 부상을 바라보는 3대 주요 시각
Ⅳ. 시사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