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너뛰기 버튼

본문내용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건너뛰기 버튼

본문내용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AIIB를 활용한 아시아 인프라시장 진출 확대전략

  • 저자

    안령 등

  • 출처

    KOTRA

  • 발행일

    2016-10-26

  • 등록일

    2016-10-27

1. AIIB 개요
◦ AIIB 프로젝트 추진방향
  - 타 MDB와의 협조융자(co-financing) 중심의 신속한 프로젝트 추진
  - 교육, 보건보다 역내 연결성 강화하는 대형 SOC 중심 프로젝트 우선 추진
 ◦ 타 MDB와의 차이 : 1) 인프라 분야 투자집중, 2) 신속한의사 결정(非상주 이사회),  3) 환경영향평가 등 세이프 가드 완화 적용(점차 강화 추세)

2. 아시아 인프라 프로젝트 시장 동향
 ◦ 급속한 경제성장과 SOC 수요 확대
  - 2020년까지아시아인프라개발수요는8조2,200억달러, GDP의6.5% 상당
  - (ADB) 융자규모 증액, (EU) 유럽전략투자펀드(EFSI) 조성, (日) 향후 5년간 1,100억달러 투자
  - 일본의 AIIB 불참으로 대규모 인프라 프로젝트 관련 한-중 협력 가능성 증대
 ◦ 역내 연결성 증대를 위한 운송 인프라 투자 확대
  - 중국의 일대일로, 우리의 유라시아 이니셔티브는 동북아에서 유럽까지 연결 목표
  - 우리기업이 강점가진 ICT 활용 스마트 교통시스템의 수출기회 확대
 ◦ 산업 발전을 위한 에너지 인프라 투자 확대
  - 역내 개도국 제조업 육성을 위해 전력 인프라 구축 시급(총 인프라 수요의 49%)
   - 지능형전력망, 에너지저장장치(ESS) 등 에너지신산업 관련 수출기회 확대
 ◦ 민간투자 증가와 프로젝트 파이낸싱 금융시장 발달
  - 아시아 개도국 정부 재정 부족으로 민관협력(PPP) 수요 증대
  - 우리금융기관도ECA보증부대출, 국제보험등활용하여개도국신용위험상쇄가능

3. 우리기업 진출 전략
 ◦ 개도국 개발정책 분석 및 주요 발주처와의 네트워킹 통한 사업정보 사전입수
 ◦ 中, 日기업과 컨소시엄으로 네트워킹과 초저금리 파이낸싱 활용 수주
 ◦ 개발경험공유(KSP)컨설팅과 EDCF를 활용한 프로젝트 수주 연계
 ◦ 맞춤형 프로젝트 개발과 발전모델을 제시하는 투자개발형 수주
 ◦ 수출신용기관보증부차관, MDB 차관으로개도국리스크상쇄하는민관협력(PPP) 투자
 ◦ 일대일로 6대회랑 중심의 동남아 국가와 중점협력 추진


<목 차>
Ⅰ. AIIB 개요
Ⅱ. AIIB 투자절차 및 운영 방식
Ⅲ. 아시아 인프라 프로젝트 시장 동향
Ⅳ. 시사점 및 우리기업 진출 전략

확인

아니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