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너뛰기 버튼

본문내용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건너뛰기 버튼

본문내용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4차 산업혁명 시기의 한중 산업 정책 및 경쟁력 비교 연구

  • 저자

    박종국

  • 출처

    한국수출입은행

  • 발행일

    2016-12-16

  • 등록일

    2017-01-17

우리 인류사회는 인간-제품-설비가 초연결화되고 지능화와 자동화가 극대화되는 '4차 산업혁명 시기'와 대면하고 있습니다.

독일, 미국, 일본 등 주요 선진국들은 이미 5년전부터 산업 패러다임의 변화를 차근 차근 준비해 왔습니다.

아울러 중국도 2015년을 기점으로 독일형 4차 산업혁명 대응전략을 수립했으나 이제는 미국+일본형 전략까지도 포괄하여 선진국과 어깨를 나란히 하겠다는 계획입니다.

한편 한국은 2014년을 기점으로 스마트공장 확산, 로봇 등 미래성장동력 육성을 추진 중에 있으나, 독일 등 선진국과는 기술력 차이가 큰 상황입니다.

더욱이 최근 들어 그간 한국에 비해 기술 열위에 있었던 중국이 '추격자'에서 '추월자'로 지위가 역전되는 현상이 지속 발생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이에 동 연구에서는 4차 산업혁명 시기의 한국과 중국의 산업 정책과 경쟁력을 비교 연구하여
우리의 대응방안을 제시해 보고자 합니다.


<목 차>
1. 4차 산업혁명 개념 및 5대 핵심기술
2. 산업 패러다임 전환기의 주요국 대응
3. 한중 산업 정책 및 경쟁력 분석
4. 시사점 및 우리의 대응방안

확인

아니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