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너뛰기 버튼

본문내용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건너뛰기 버튼

본문내용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중국 O2O 시장현황과 정책적 시사점

  • 저자

    구진경

  • 출처

    산업연구원

  • 발행일

    2019-01-16

  • 등록일

    2017-02-09

모바일 기기의 급격한 확산과 정부의 적극적인 육성의지로 중국의 O2O(Online to Offline) 시장은 급격히 성장

중국의 O2O 시장은 음식배달, 차량공유, 여행 등 생활밀착형 서비스를 중심으로 발달
- 기존 오프라인 업체들도 고객 서비스 품질 향상과 운영 효율성 증대를 위해 O2O 서비스를 도입
- 성숙기에 접어든 중국의 O2O 시장은 대형 IT기업 바이두, 알리바바, 텐센트를 중심으로 재편 중
 
중국 정부도 O2O 산업 육성을 위해 다양한 육성 정책을 발표
- 중국 정부의 「인터넷 플러스」 정책의 일환으로 「온·오프라인 상호연계를 통한 무역·유통 혁신발전 및 산업고도화 촉진에 관한 의견(2015.9)」, 「인터넷+유통 행동계획에 관한 의견 (2016.4)」 발표
- O2O 서비스 분야에 대한 낮은 진입 규제와 정부의 다양한 육성정책은 중국 O2O 시장 성장을 견인
 
빠르게 성장 중인 한국 O2O 시장도 시장성숙기에 대비해 자생력 확보 필요
- 현재 한국 O2O 기업들의 수익구조가 취약하고 투자자금의 정부자금 의존도가 높아 자생력이 취약
 
국내 O2O 시장 활성화를 위해서는 규제개선을 통한 시장 유연성 확대와 스타트업 기업 육성, 기술혁신 지원 및 전문인력 육성 필요

확인

아니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