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너뛰기 버튼

본문내용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건너뛰기 버튼

본문내용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중국의 해외직접구매 정책 변화와 대응방안

  • 저자

    김숙경

  • 출처

    산업연구원

  • 발행일

    2017-01-31

  • 등록일

    2017-02-23

중국의 해외직접구매 시장은 빠르게 성장하고 있으며, 중국 소비자들의 한국 제품 선호도도 높아 중국은 향후 우리 기업의 전자상거래 B2C 수출에서 더욱 중요한 시장이 될 것으로 전망
  
중국정부는 수입품 암시장 근절 등을 위해 해외직접구매에 유리한 정책을 펼쳐왔으나, 2016년 세제개편 및 통관규제 강화 등 해외직접구매 관련 규제를 강화
  
중국의 해외직접구매 관련 세제개편이 우리나라의 전자상거래 B2C 수출에 미치는 영향은 품목과 제품가격, 세율 등에 따라 양면적
-예컨대, 음식료품은 세제개편으로 세 부담이 증가하지만, 우리나라의 최대 B2C 수출품인 화장품은 제품가격이 일정 수준(100위안) 이상이면 오히려 세 부담 감소
 
실제로 중국의 세제개편 이후 우리나라의 대중 B2C 수출액이 전년동기 대비 100% 이상 증가하여 큰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남.
 
향후 대중 B2C 수출 확대를 위해 물류시스템 개선 및 인증 획득 노력 필요
-중국 소비자가 국내 온라인 쇼핑몰에서 직접 구매하는 경우 국제배송 비용과 기간의 단축이 매우 중요하므로, 이를 위해 국내에 ‘국제전자상거래 공동물류센터’를 구축하는 방안 검토 필요
-중국 소비자는 해외직접구매에서 제품의 품질을 가장 중요하게 고려하고, 또 최근 중국정부가 수입허가 관련 규정을 보다 엄격하게 적용하려는 움직임을 보이므로, 제품의 품질 제고 및 인증 획득은 경쟁력 강화를 통한 중국 수출 확대의 가장 기본적인 대비책이 될 것임.

확인

아니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