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정유 및 석유화학제품은 중국이 최대 수출국으로, 전체 대중국 교역에서도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중국은 2000년대 후반 화학산업의 양적인 성장을 위한 대규모 신증설을 진행한 이후, 신창타이(新常態)로 정책기조를 변경하며 질적인 성장도 함께 도모하고 있다. 본고에서는 중국 화학산업의 변화로 인해 국산 화학제품의 대중국 교역이 어떠한 영향을 받고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대중국 정유제품 수출은 나프타, 아스팔트 등 산업용 수요 위주로 이루어지고 있어 중국내 정제시설 신증설에 의한 영향이 미미할 것으로 예상되는 반면, 석유 화학제품 수출은 중국내 화학산업 성장에 기인한 대중국 교역규모 감소 등의 위험이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대중국 정유제품 교역구조는 중국에서 연료유 위주의 생산, 수출이 증가하는 상황을 감안했을 때 단기적인 변화폭은 작을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중국은 지속적인 신증설, 품질기준 강화를 추진하고 있어 향후 중국산 정유 제품의 역내 수출이 증가할 것으로 예측되는 바, 국내 정유제품의 총 수출에는 부정적으로 작용할 것으로 전망된다. 석유화학제품은 다양한 제품군에 걸쳐 신증설이 지속되고 있어 교역구조 변화 가능성이 높다. 기초유분, 합성수지는 석탄을 원료로 사용하는 석탄화학 설비의 신증설로 인해 자급률이 상승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중동산 저가 제품과의 경쟁도 불가피한 상황이다. 중간원료는 파라자일렌(PX)을 중심으로 중국 및 주변국가에서 대규모 신증설이 계획되어 있어, 대중국 수출 경쟁이 심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목 차>
1. 연구배경
2. 정유제품
3. 석유화학제품
4. 시사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