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2,812만대로 6년 연속 세계 자동차생산 1위를 기록한 중국이지만, 아직까지 수출은 1백만대를 약간 넘는데 그치고 있다. 최근 설비능력이 급증하며 가동률이 떨어지자 중국 정부가 수출을 독려하고 나선 가운데, 자동차업계의 글로벌 전략이 본격화되는 양상이다. 한국시장에 대한 공략도 확대될 것으로 보이는 중국 자동차업계의 글로벌 전략을 살펴본다.
○ 중국 자동차 수출은 ’16년 102만대로 생산(2,800만대)의 3.7% 수준에 그침
- ’12년 110만대 수출 이후 정체 상태로 주요 자동차 수출국은 동남아, 중동•아프리카 등 신흥국임. 자동차 부품은 수출 증가세가 지속되며 ’16년 U$297억의 무역흑자를 기록
○ 수출 부진은 외자합작사의 非수출 전략과 로컬기업의 신흥국 중심 수출의 한계 때문, 중국 정부는 ’25년 수출비 10%를 목표로 수출 확대를 독려 중
- 상위 생산업체인 외자합작사 대부분이 본국과 글로벌 생산기지 차량의 시장 구분을 위해 중국 생산품을 非수출, 로컬업체 수출은 신흥국 경기 및 정치상황에 따라 불안정하게 변동하며 증가하지 못하고 있음
- 자동차 생산능력 급증으로 최근 가동률이 60% 미만에 그치자 중국 정부는 로컬 브랜드 육성 등 경쟁력 강화로 수출을 확대해 과잉설비를 해소하려는 정책 구상
○ 최근 중국 자동차업계에서는 ①해외생산 투자 확대, ②승용차와 SUV 등 수출 차종의 다양화, ③선진국 시장 공략 시작, ④외자합작사의 본국 역수출 개시 등 글로벌 전략의 변화 움직임이 나타남
- 현지 조립공장 및 완성차 공장 등 해외기지를 확대하고 있어, 계획 중인 투자가 모두 이루어질 경우 해외생산능력은 144만대에서 438만대로 증가 예상
- 상용차•경차 중심의 수출과 현지생산에서 승용차•소형 밴•SUV 등으로 차종 고급화 및 다양화 추진, 무역자회사 설립과 현지 대리상 확대 등 수출기반 강화
- 선진 자동차 브랜드를 인수해 글로벌 수출중심 기지로 육성하고 중국에서 합작 했던 파트너사와 공동 해외진출 시도, 전기자동차를 통한 선진국 공략도 확대
- ’15년 GM이 중국 생산 뷰익을 미국으로 역수출, ’16년 포드사의 미국 역수출 등 글로벌 자동차사의 전략 변화도 일부 나타나기 시작
○ 中 철강사들은 자동차사 글로벌화 동향에 대해 해외 동반진출과 성장성이 높은 부품산업 진출로 대응. 최근 중국 자동차의 한국시장 진출도 확대되고 있어, 국내 자동차업계와 철강업계의 경쟁력 강화 및 협력 등이 필요
- 中 철강사, 선진국향 강재수출이 막힌 상황에서 車업계 동반 진출로 동남아 등 주요 시장에서 수출판매체제 고도화, 또한 부품사업 추진으로 밸류체인 확대
- ‘16년 국내시장의 중국산 자동차 수입이 2천대를 넘어섰고, 중국 업계의 한국시장 공략이 확대될 전망으로 국내 관련산업의 관심과 사전 대응 필요
<목 차>
1. 중국 자동차 및 부품 수출 동향
2. 수출 정체 원인과 정부 정책
3. 자동차업계의 글로벌 전략 변화
4. 중국 철강사의 대응 및 시사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