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거 20년 동안 한국과 중국은 모두 수출거래의 지속성과 안정성으로 대표되는 수출거래 구조의 성숙도가 향상
● 수출경쟁력과 밀접한 관계를 가진 수출구조의 성숙도로 계산한 세계 순위는 중국이 2위, 한국이 14위로 각각 상승
한·중 간 치열한 수출경쟁으로 중국의 한국 수출시장 침투율은 모든 지역과 산업에서 상승
● 중국의 수출시장 침투율은 개도권과 자동차산업에서 빠르게 상승
한·중 간 경쟁품목의 수출거래 구조는 기존 거래가 중단된 비중보다 신규 거래가 발생한 비중이 더 커져 경쟁의 긍정적 효과가 발생
● 수출거래 구조의 개선 효과는 중국이 더 컸지만, 한국의 수출거래 구조 역시 확장적으로 변화
한국의 수출거래 구조는 모든 업종에서 개선되는 가운데 산업의 특성과 중국과의 경쟁관계에 따라 차별화
● 화학과 산업용 기계는 신규 거래의 발생 비중이 월등히 높아 중국과의 경쟁에 따른 수혜를 가장 많이 본 업종으로 판단
한·중은 상호 경쟁을 통한 수출품목의 개발과 해외시장의 개척에 노력하여 수출거래 구조의 성숙도를 더욱 높일 필요
● 양국 정부와 기업은 산업별·품목별 글로벌 가치사슬의 확대와 발전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긴밀하고 호혜적인 분업관계를 구축할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