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너뛰기 버튼

본문내용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건너뛰기 버튼

본문내용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중국 경쟁력 강화에 따른 산업별 리스크 분석

  • 저자

    이주완

  • 출처

    하나금융연구소

  • 발행일

    2018-02-21

  • 등록일

    2018-02-28

한국 경제는 수출의존도가 높아 글로벌 교역에 민감

• 우리나라는 GDP에서 수출이 차지하는 비중이 1990년부터 2011년까지 20년 동안 2배로 높아짐

 - 수출/GDP(백분율): 23.3%(1990)  26.8%(2000)  31.7%(2005)  45.6%(2011)

• 비록 최근 몇 년간 수출 비중이 낮아지는 추세를 보여주고 있으나 여전히 대외교역 의존도가 높음

 - (수출+수입)/GDP(배수): 0.48(1990)  0.52(2000)  0.89(2011)  0.64(2016)

• 한국 경제는 글로벌 교역 시장의 변화에 민감할 수밖에 없으며 대외적인 경쟁 역학 관계가 중요


글로벌 수출 시장 강자인 중국과 필연적인 경쟁 관계

• 글로벌 교역 시장, 특히 수출에서 중국이 차지하는 비중이 빠르게 높아지며 그 영향력이 확대됨

 - 글로벌 수출 시장에서 중국 비중(%): 1.8(1990)  3.9(2000)  7.3(2005)  13.8(2015)

• 또한, 수출 성장률도 주요국보다 크게 높아 글로벌 교역 시장에서 중국의 중요성은 더욱 커질 전망

 - 연평균수출증가율(1990~2015): 글로벌 6.5%, 미국 5.8%, 중국 15.5%, 한국 8.7%, EU 5.4%

• 수출의존도가 높은 한국은 필연적으로 중국과 경쟁관계에 있으며 중국의 경쟁력 상승은 리스크 요인


<목 차>

1. Why China?

2. 중국발 리스크 예상 업종 선정

3. 산업별 리스크 분석

4. China Risk Wave Map


확인

아니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