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진 경과) 2014년 7월 한중 정상회담에서 지방경제협력 확대와 산업단지 조성에 합의
- 한중 FTA에 한중산업협력단지 조성 합의안이 반영(2015년 1월)되었고, 10월 중국상무부와 한국산업부 간 ‘한중산업단지 공동조성에 관한 MOU’ 체결
-중국 정부의 정식 승인
-1단계로 중국에는 산동성 옌타이시, 장쑤성 옌청시, 광동성 후이저우시 등 3개 지역, 한국에는 새만금 지역에 한중산업협력단지를 조성하기로 합의
(의의) 한중산업단지는 한중 간 산업협력 방식과 내용이 새로운 산업발전 단계로 진입하는 상징적이고 대표적인 시범사업의 의미
-과거 저렴한 산업용지 공급과 저임금의 인력 활용에 기반한 생산방식이 아니라 진출기업의 현지 뿌리내리기에 기반하여 현지의 산업생태계와 혁신체계에 편입되어 가는 것이 중요
-산업입지 공급 방식도 다양화하여 임대 산단 공급, 소규모 단지, 지식집적시설 공급 등이 필요하며, 기술협력 방식도 개편하여 한중 기술창업 기능 강화, 기업지원의 통합 플랫폼 구축운영 등을 적극 모색 필요
<목 차>
1.한중산업협력단지 개요
2.한중산업협력단지 현황과 개발전략
3.한중산업협력단지 활성화 방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