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너뛰기 버튼

본문내용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건너뛰기 버튼

본문내용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미·중 통상전쟁

  • 저자

    심상형,유승록,정이선

  • 출처

    포스코경영연구원

  • 발행일

    2018-9

  • 등록일

    2018-10-18

미·중 통상전쟁이 더욱 확대되고 있다. 5월 들어 양국 간 고위급 무역회담으로 타결 가능성이 커지면서 훈풍을 기대했으나 지금까지 대상품목과 금액이 확대되는 등 오히려 갈등이 커지는 양상이다. 또한 전통 우방국인 일본이 다음 대상이 될 것이라며 보복 국가도 확대되는 상황이다. 미국의 대중국 정책 방향과 향후 전망을 짚어보는 한편, 트럼프 행정부가 지향하는 보호주의의 대상과 대응책 등을 생각해봤다.


1. (실물과 금융 불안이 커지고 있는 중국) 미-중 통상전쟁으로 中 경제, 실물·금융 불안 - 국제공조, 수출시장 다변화로 대비책 마련

2. (전방위로 확대 중인 보호무역주의 도미노) 제재 대상·제품 확대…우방국도 예외 없어 - 미 보호주의 도미노에 어떻게 대응해야 할까

3. (대중국 기술굴기 억제 위한 무역전쟁 지속) '아메리카 퍼스트' 내세우며 관세전쟁 확대 중 - 시진핑의 기술굴기 견제 등 정치·경제적 의도 담겨

확인

아니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