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내적으로 공급과잉 해소 및 산업구조고도화 그리고 지역격차 완화 등을 이유로 중국몽을 실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정책수단으로 일대일로를 시작
대외적으로 기존의 미국 중심 국제질서에서 새로운 국제질서로의 전환을 위한 우호국가 확대 차원의 일대일로 중시
미국을 비롯한 선진국들의 견제와 연선국가들의 국내사정으로 인한 일대일로 구상 추진의 속도 조절 불가피
○ (대내적 배경) 시진핑 정부가 출범하면서 중국몽을 실현할 수단과 산업구조고도화 및 지역격차 완화라는 정책요구를 담아낼 수 있는 수단으로 “일대일로(一帶一路)”가 등장
○ 2008년 세계적인 금융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수단으로 중국정부는 재정지출을 늘렸고 이로 인한 공급과잉의 문제가 철강, 석유화학, 건축자재 등의 분야에서 심각한 수준에 이르면서 이를 해결할 수 있는 수요 창출이 필요했던 상황
- 신규 수요 창출로 공급과잉 문제는 물론 산업의 구조고도화 추진
- 인프라 개발로 지역 간 연결을 통하여 서부대개발을 추진함으로써 지역 간 발전격차 완화
- 궁극적으로는 대동사회를 이루고자 하는 중국몽을 실현하는 수단
<목 차>
1. 일대일로 정책의 배경
2. 일대일로 정책의 현황과 성과
3. 일대일로 정책의 현안과 미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