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너뛰기 버튼

본문내용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건너뛰기 버튼

본문내용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치열한 경쟁의 시대-2018 중국 웹 예능 시장 분석

  • 저자

    북경 비즈니스센터

  • 출처

    한국콘텐츠진흥원

  • 발행일

    2019-03-21

  • 등록일

    2019-04-11

중국 웹 예능 시장은 5년간 가파른 성장세를 기록하였으며, 2018년에 치열한 경쟁의 시대로 진입하였음. 

- 지난 한 해 동안 새로 방영된 중국 자체제작 웹 예능의 수는 162편으로 약 2% 감소하였음. 웹 예능의 투자 규모는 전년동기 대비 58%이상 증가한 68억 위안(약 1조 1,400억원)이었음. 강화되는 규제와 막대한 자본의 투입 및 전문성을 갖춘 제작진으로 인하여 웹 예능 콘텐츠는 질적인 성장을 이뤘음. 

- 콘텐츠 분포를 살펴보면, 킬러 콘텐츠 웹 예능의 수가 대폭 증가하였음. 이에 따라 <창조101(创造101)>, <우상연습생(偶像练习生)>, <저!취시가무(这!就是街舞)>등 막대한 영향력을 발휘하는 작품이 배출되기 시작하였음. 또한, 중간 단계의 콘텐츠는 각 시청자층의 수요에 맞춰 다양한 시청자층을 확보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콘텐츠 유형 역시 지속적으로 다원화되고 있음. <심동적신호(心动的信号)>, <일본호서(一本好书)>, <기우인생(奇遇人生)> 등의 프로그램은 모두 양질의 콘텐츠로 시청자들의 심리적 욕구를 충족시키며 호평을 받았음. 웹 예능N대는 적자생존의 시즌제 개발로 인하여 브랜드 효과를 구축하였으며 플랫폼 웹 예능 분야에서의 경제적 해자3), 즉 경쟁 우위를 확보하였음. 시청자들로부터 인정을 받으며 성공한 예능N대의 대표작으로는 <토조대회(吐槽大会)>와 <기파설(奇葩说)>이 있음. 킬러 콘텐츠 웹 예능을 중심으로 개발된 파생 프로그램은 선두 웹 예능의 롱테일 법칙을 재구조화하였으며 콘텐츠의 영향력을 더욱 확대하였음. 웹 예능은 유료 서비스로의 전환을 시작하면서 수익창출능력을 한층 강화하였음. 이에 따라 웹 예능 콘텐츠의 분포는 한층 더 최적화되었음. 웹 예능 산업체인의 상류, 중류 단계는 지속적으로 발전하고 있으며, 이는 하류의 수익창출 경로의 다원화를 촉진하였음. 웹 예능의 수익성은지속적으로 개선되고 있으며, 웹 예능 시장의 생태계는 더욱 확대되고 있음. 

- 향후, 중국 웹 예능 시장은 정책과 시장의 쌍방향 통제 하에 질적인 성장을 이룰 것임. 또한, 제작 능력이 뛰어난 회사가 계속 살아남을 것이며, 수직적4) 우수 웹 예능 분야에서의 기회도 크게 늘어날 것임. 웹 예능 콘텐츠의 수량은 점차 안정될 것이며, 플랫폼은


<목 차>

1. 웹 예능, 치열한 경쟁의 시대

2. 웹 예능 시장 한 해의 성과 분석

3. 웹 예능 시청자 행위 전면 분석

4. 정책의 시장 재편 촉진, 새로운 국면을 맞이한 웹 예능

확인

아니오